현대차, 지난해 50대 신규 직원 늘고 20대 줄었다 “베테랑 경력직 대세”
||2025.07.06
||2025.07.06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채용한 신입직원 중 50세 이상 고령층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20대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가 경력을 갖춘 베테랑 인재를 활용하려 도입한 ‘숙련 재고용' 제도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들어 노동조합이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정년연장을 요구하면서 노사 간 고용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확산될 전망도 나온다.
6일 현대차가 발표한 ‘2025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입사한 직원은 2만363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2만5419명보다 7.03% 감소한 수치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50대 이상 신규 입사자 수는 3807명에 달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했다. 2022년(2455명)과 비교하면 약 55%로 대폭 늘었다. 반면 30세 미만 청년층 채용은 1만4531명으로 전년(1만6551명)보다 12% 줄어들었다.
이 같은 채용 구조 변화에는 현대차가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한 해법으로 도입한 숙련 재고용 제도가 자리 잡고 있다. 현재 현대차는 60세 이상 기술직 및 정비직, 영업직 등 정년 퇴직자를 대상으로 최대 2년을 더 일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인건비를 줄이면서도 즉시 업무 투입이 가능한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재고용 인력의 급여는 신입 수준으로 책정된다”며 “청년 유입이 줄어든 상황에서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해 현대차 노동조합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에서 정년 연장을 화두로 꺼낸 만큼 노사 간 고용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나타날 조짐도 보인다. 노조는 기존 만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개시 전년인 최장 64세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사측이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만 64세로 정년 연장을 할 경우 연간 수천억 원의 추가 인건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사측은 노조와 협상은 이어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의 경우 지난해 10월 정년 연장 태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해 올해 중 개선안을 내놓기로 했다. 사측은 숙련 재고용 제도 도입 이후에도 노조의 요구로 기존 1년이던 재고용 기간을 2년으로 늘리고, 대상도 생산직에서 영업직으로 확대했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일률적인 정년 연장은 인건비 등 기업 부담을 막대하게 가중시킨다”면서 “올해 교섭에서는 임금 인상뿐 아니라 정년 연장 등으로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