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구글 포 코리아’ 개최…AI 혁신 성과 대거 공개
||2025.07.02
||2025.07.02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구글코리아가 2일 서울에서 'AI와 함께하는 세계적인 문화강국 및 기술강국 대한민국'을 주제로 제5회 구글 포 코리아 2025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이 창의성과 혁신을 기반으로 디지털 및 창작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방식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윌슨 화이트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협력 총괄 부사장, 마니쉬 굽타 구글 딥마인드 시니어 디렉터,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영상으로 축하 인사를 전했다.
화이트 부사장은 대한민국이 AI 시대에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 역량과 창의성을 갖춘 국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강력한 기술 기반과 혁신적인 경제 구조가 AI로 인한 글로벌 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하며, AI가 향후 혁신 촉진과 창의성 극대화를 통해 경제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마니쉬 굽타 시니어 디렉터는 AI가 창작과 과학 분야에서 이미 현실을 바꾸고 있다고 강조하며, 제미나이, 프로젝트 아스트라, 알파폴드 등 다양한 AI 기술이 일상 속 창의성 확대와 과학적 혁신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행사에서는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두 건의 패널 토크가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AI가 창작 과정에서 리서치와 아이디어 발굴을 도와주는 지적인 어시스턴트로 진화하고 있으며, 구글 AI 툴이 창작자의 몰입과 상상력을 증폭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는 "AI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산업 전반의 협력 구조와 혁신 생태계를 함께 조성해 나가야 할 공동의 과제가 되고 있다"며 "구글과 같은 글로벌 AI 기업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이 중요하며, 상호 신뢰와 협업이 가능한 개방형 생태계가 마련돼야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코리아는 한국 사회의 현실적 문제 해결과 경제적 성과 창출을 위한 협력 사례를 담은 '구글과 대한민국: AI로 여는 창의성과 혁신의 시대' 리포트를 공개했다. 영국 시장조사 기업 퍼블릭 퍼스트의 연구에 따르면, AI 도구를 사용 중인 한국 대기업의 85%는 AI가 비즈니스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으며, 전체 기업 중 51%는 AI 도입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한국 테크 산업에서 AI를 통해 창출된 1원의 부가가치가 경제 전반에 평균 3.8배 이상의 파급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2024년 기준 구글의 제품 및 서비스는 한국 내에서 약 18조원 규모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11만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구글 포 코리아'는 글로벌 협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AI 생태계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혁신의 상징적인 자리"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우리는 AI 시대라는 중요한 전환점에 있으며, 국회는 민간의 혁신이 자유롭게 꽃필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다지고, AI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수 있도록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AI는 한국 고유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한층 증폭시켜, 사회 전반에 새로운 기회를 열고 한국의 잠재력을 글로벌 무대로 확장시키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구글코리아는 앞으로도 한국의 인재들이 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교육, 협업,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방면에서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