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내수 부진·수출 악화 … 새 정부 정책 지원 절실”
||2025.06.24
||2025.06.24
자동차산업의 위기가 국가 제조업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주장이 제기됐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가 24일 '신정부에 바라는 자동차산업 정책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제42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 참석자들은 내수 부진과 수출 악화가 계속되고 있다며 국내외 전방위 지원 체계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준기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상무는 “국내 생산 촉진세 신설 등 세제 지원과 전기차 보조금 확대, 수소화물차 보조금 편성으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며 “부품 업계 미래차 전환, 협력적 노사관계, 노동유연성 개선, 미래 모빌리티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래차 분야에서 “자동차 소프트웨어화와 인공지능(AI) 기술 역량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소프트웨어 중심의 생태계 조성과 부품 업계 기술 제고가 정책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차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실효성이 낮다”며 예산 확대와 지원 체계 마련을 주문했다.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실장은 중소·중견 부품기업에 대한 장기 저리 금융, 연구개발 투자, 고용보조금 신설 등을 건의했다.
조합에 따르면 국내 부품 기업은 애로사항으로 '자금 부담 증가'(28.2%), '관세 부담액 분담 우려'(26.6%) 등을 손꼽았다. 정책 방향으로 '관세 면제·감축 협상'(43%),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리스크 대응'(20.2%), '현지 진출 지원'(18.7%) 등을 요청했다.
강남훈 KAIA 회장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미래차 주도권 확장,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수출 환경이 악화했고 국내에서는 내수 회복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생산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전방위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