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 공모 착수
||2025.06.20
||2025.06.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를 위해 국내 정예팀 공모에 본격 착수한다고 6월 20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함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 공모를 6월 20일부터 7월 21일까지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그간 가칭 '월드 베스트 LLM'으로 발표해온 프로젝트의 정식 명칭이다.
정부는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을 대상으로 공모하며,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이렇게 개발 하는 모델은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한다. 참여할 정예팀이 구체적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정부는 목표만 제시하고 구체적인 전략과 방법론은 참여 정예팀이 구현하는 방식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참여할 정예팀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희망 자원인 GPU, 데이터, 인재를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하는 한편, 추후 평가 등으로 적정규모 검토 후 지원할 계획이다.
GPU의 경우, 올해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는 민간이 보유한 GPU를 임차해 지원하고, 그 이후는 정부 구매분을 활용하여 지원한다. 팀당 GPU 500장부터 시작해 단계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 규모의 GPU를 지원할 예정이다. 데이터의 경우, 모든 정예팀들의 저작물 데이터 공동구매와 함께 개별 정예팀의 데이터 구축·가공을 지원한다.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50억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 지원으로는 정예팀이 해외 우수 연구자를 주도적으로 유치할 경우,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며, 연간 20억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진다. 특히 인재 지원은 인재 확보의 연속성 차원에서 정예팀 압축과 관계없이 2027년까지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넘어 AI 시대 대한민국의 기술주권 확보,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하여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 확산함으로써,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모두의 AI'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AI 기본사회 구축을 위해 1조245억원을 투입한다. 개발된 AI 모델을 기반으로 전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모두의 AI'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이 모델을 활용해 국방·공공·산업 등 분야별 특화 AI 모델을 만들어 보급할 예정이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