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수준 국산 LLM 개발 가능할까?...새 정부 AI 정책 화두로
||2025.06.20
||2025.06.20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정부가 세계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95% 성능을 내는 독자 모델 개발을 예고했다. 실력있는 정예팀에 자원을 몰아주고 글로벌 수준 AI 모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AI G3 달성을 목표로 삼은 가운데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18일 국정기획위원회와 진행한 업무보고 내용에는 '범용AI 모델 개발 프로젝트 추진' 계획이 포함됐다. 실력있는 국내 AI 정예팀에 GPU와 데이터, 인재를 집중 지원하고, 세계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내는 프로젝트다.
특히 범용AI 모델 성능 목표치는 세계 유수의 AI 파운데이션 모델 95% 이상으로 잡았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참여팀이 제시하는 '다르파(DARPA)' 방식으로 추진한다고 과기정통부는 부연했다. 그동안 써왔던 '월드 베스트 대규모언어모델(LLM)'라는 명칭 변경도 검토한다. 이렇게 개발된 AI 모델을 기반으로 전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모두의 AI' 서비스 출시를 유도한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무리한 계획을 세웠다는 분석이 나왔다. AI G3라는 목표와 달리 한국은 '초격차'인 미국과 중국에 이어 영국·일본·프랑스 등 3위권 국가들 가운데서도 뒤에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다.
AI 모델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X'를 비롯해 LG AI연구원의 '엑사원', SK텔레콤의 '에이닷엑스' 등 대기업이 만든 다양한 AI 모델이 존재하지만, 오픈AI나 구글 등 빅테크와는 격차가 있다는 인식이 대다수다. 이 상황에서 세계 수준에 필적하는 AI 개발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단 업계는 정부가 AI 역량 강화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세계적인 AI를 만들 수 있는 역량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는 이유에서다. 또 특정 분야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AI를 만들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한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AI 모델 성능 자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세계적인 모델을 만들 역량을 국가가 갖고 있느냐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며 "기술과 인력, 자원을 확보해 AI 역량을 계속해서 키우고, 세계에서 경쟁력을 발휘하자는 의지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AI 기술 수준이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는 상황에서 목표치를 높게 잡고, 경쟁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뜻이다. 95%라는 수치도 최대한 높게 목표를 설정하는 의지 표현에 가깝다. 이 관계자는 특히 "한국문화나 언어에 특화한 AI로 범위를 좁히면 특정 벤치마크에서는 글로벌 모델보다 앞선 성능을 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책 구조도 나쁘지 않다는 평가다. 현재 제시된 계획에 따르면, 우선 정예팀 5팀을 선정한 후 2~3차 평가를 거쳐 한 두 팀으로 압축해 나간다. 일종의 서바이벌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낸 정예팀이 만든 모델이 '모두의 AI' 뼈대가 될 전망이다.
이경전 경희대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절대평가가 아니라 경쟁을 통해 매년 고도화된 팀을 선정하는 정책 구조는 설계가 잘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단 인프라 확보는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다. 당장은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임차 사업을 통해 범용 AI를 만들 컴퓨팅 인프라를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대규모 자원 확보는 필수다.
이를 위한 국가AI 컴퓨팅센터 사업 공모는 두 차례 유찰되며 표류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국가AI 컴퓨팅 센터 민간 참여 요건을 대거 완화하는 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