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통상임금 위로금 2천만원 지급 요구
||2025.06.15
||2025.06.15
[잡포스트] 이숙희 기자 =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조합원 1인당 2천만원의 통상임금 위로금 지급을 요구했다. 이는 대법원의 정기 상여금 통상임금 포함 판결에 따른 위로금 형태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치에 대한 지급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달 28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이 안건을 통과시켰다.
대법원은 지난해 12월 정기 상여금도 통상임금에 산입해야 한다고 판결하면서, 소송 당사자들에 대해서만 소급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는 소송을 제기했더라면 승소했을 조합원들에게 위로금 또는 격려금 형태로 보상을 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일반적인 법적 소급 기한이 3년인 점을 고려하고,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됐을 때 늘어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각종 수당 차액을 계산하면 조합원 1인당 평균 2천만원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노조 관계자는 "대의원대회 진행 과정에서 대의원이 현장에서 발의해 채택됐다"며 "당연히 받아야 했을 돈을 못 받았다고 조합원들이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조합원이 4만1천 명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위로금은 총 8천200억원 규모에 달하게 된다.
노조가 실제 이 안건을 올해 임단협 테이블에 올려놓으면 법적 논란과 함께 사측과 상당한 갈등이 예상된다. 회사 측은 대법원이 법적 안정성을 위해 소송 당사자 등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 새로운 통상임금 법리는 판결 선고일 이후 산정하는 것부터 적용하기로 했는데 노조가 사실상 이를 어기는 안을 내놓은 것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통상임금 위로금' 자체를 다루려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차 노사는 오는 18일 상견례를 열고 올해 임단협 교섭을 시작할 예정이다. 올해 노조는 기본급 14만1천300원 인상,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을 현재 60세에서 국민연금 수령 개시 전년 연말(최장 64세)로 연장, 퇴직금 누진제 적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