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억 시청자 취향에 맞게"…넷플릭스, 12년 만에 TV UI 개편
||2025.06.13
||2025.06.13
넷플릭스가 12년 만에 TV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바꿨다. 시청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적절한 시기에 추천해 시청 경험을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넷플릭스가 13일 서울 오피스에서 새롭게 개편된 TV UI를 비롯해 넷플릭스의 프로덕트 철학과 기능을 소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유니스 킴 넷플릭스 최고프로덕트책임자(CPO)와 이강이 한국 프로덕트 부문 디렉터가 참석했다.
유니스 킴 CPO는 "세상을 즐겁게 하는 게 미션이다. 넷플릭스는 다양한 취향을 가진 7억 명 이상의 전 세계 시청자와 교류하고 있다"며 "넷플릭스처럼 이렇게 다양한 문화, 언어, 취향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역사 이래 최초일 것이며 넷플릭스의 프로덕트는 그 도전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킴 CPO는 시청자가 좋아할 만한 내용을 알맞은 시기에 추천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회원들의 시청 경험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넷플릭스는 시청을 더 쉽고, 빠르고, 즐겁게 만들어주는 많은 인기 기능들을 도입해 왔다"며 "앱을 처음 열었을 때 보이는 인터페이스부터 적절한 시점에 알맞은 이야기를 추천하는 방식까지 넷플릭스의 모든 것이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볼거리의 발견과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한 여정으로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넷플릭스의 개인화 시스템에 대해 이강이 디렉터는 "넷플릭스의 훌륭한 이야기를 다채로운 글로벌 시청자 니즈와 취향에 맞추기 위한 접점을 만드는 과정이다"며 "넷플릭스 앱 내의 모든 이미지, 비디오, 시놉시스, 기타 작품 관련 정보 등 시청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개인의 구미에 맞게 전달하는 것이 넷플릭스 프로덕트가 추구하는 시청자 경험이다"고 말했다.
세계의 사랑을 받고 있는 한국 콘텐츠와 그 시청 방식은 넷플릭스 프로덕트 설계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디렉터는 세계에서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배경 음악 등 소리 정보 없이 대사만 표시하는 '순수 대사 자막(Original Language Subtitle)'기능을 소개했다.
이강이 디렉터는 "한국에서 예능 콘텐츠를 진행하면서 해외에서도 이런 수요가 많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미국의 경우 이용자 반 정도가 자막을 켜고 시청을 한다고 하며 이러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올해 4월부터 넷플릭스가 자막을 제공하고 있는 모든 언어에 점진적으로 해당 기능을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수년간 회원들의 시청을 더욱 편하고 즐겁게 만들어 콘텐츠 몰입감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들을 도입하고 있다. 작품을 클릭하기 전 간단히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비디오 프리뷰(video previews)와 다양한 자막 옵션을 비롯해 오프닝 건너뛰기(Skip Intro), 최고예요!(Double Thumbs Up) 및 한 번의 클릭으로 전체 시즌을 휴대폰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전 시즌 다운로드(all-season download) 기능도 있다. 최근에는 TV 화면에서도 자막과 더빙을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 선택기능 (language selector)을 선보이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회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회원들의 TV 경험 진화를 위해 12년 만에 TV UI를 개편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유연한 경험, 회원의 요구에 더 직관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터페이스, 넷플릭스에서의 최고의 순간들을 더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 등에 중점을 뒀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