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콘텐츠 규제 완화…‘표현의 자유 vs 허위 정보’ 논란
||2025.06.10
||2025.06.10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유튜브가 공익성을 이유로 콘텐츠 삭제 기준을 완화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IT매체 아스테크니카에 따르면 유튜브는 선거, 인종, 성별, 낙태, 검열 등 민감한 주제를 다룬 영상의 삭제 기준을 기존 25%에서 50% 위반으로 완화했다.
이에 따라 공화당 지지자들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지지하는 영상을 올리거나, 반이민·반LGBTQ+ 콘텐츠가 확산되는 등 표현의 자유 보호와 허위정보 확산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유튜브는 '표현의 자유 보호'를 이유로 정치적 콘텐츠 규제를 완화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허위정보와 혐오 발언이 더 쉽게 확산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 것이다.
유튜브는 "공익적 가치가 있는 콘텐츠는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지만, 반대 측에서는 "사실 왜곡과 가짜뉴스가 공익성을 이유로 방치되고 있다"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유튜브는 지난해 반이민, 반LGBTQ+ 성향의 보수 유튜버 콘텐츠를 삭제했으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반발로 정책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유튜브는 정치적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공화당 지지자들이 반대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고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