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검색 API 공개 위기… 美 법무부 압박 속 검색 산업 격변 조짐
||2025.06.09
||2025.06.09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구글이 미국 법무부(DOJ)의 압박을 받으며 검색 데이터를 공개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DOJ는 구글이 검색 데이터를 API 형태로 공개해 경쟁사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IT매체 아스테크니카에 따르면 구글은 이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지만, DOJ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현재 DOJ가 요구하는 것은 구글이 검색 엔진을 독점적으로 운영하지 못하도록 데이터를 공개하라는 것이다. 인공지능(AI) 기업들은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생성형 AI 모델을 학습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한 검색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DOJ는 이를 데이터 제공(data remedy)이라고 표현하며, 구글이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검색 엔진을 강제로 분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만약 DOJ의 요구가 관철된다면, AI 기업들은 구글의 방대한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AI 기반 검색 엔진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단순히 검색 결과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AI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진화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DOJ는 구글이 검색 데이터를 공개하더라도 이를 검색 결과에 직접 활용할 수는 없도록 제한할 방침이다.
DOJ는 검색 엔진이 아닌 AI 기업들이 구글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을 허용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이는 AI 산업 전반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구글이 DOJ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검색 엔진이 강제로 분사될 수도 있다. DOJ는 구글이 검색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더라도 AI 기업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이며, 구글이 대응하지 못할 경우 법적 강제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