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구매확정 미루기’ 시범 운영…사기 피해 방지 나섰다
||2025.06.08
||2025.06.08
당근은 최근 당근페이에서 제공하는 안심 결제 서비스 내 '구매확정 미루기' 기능을 추가했다고 5일 밝혔다.
이 기능은 에스크로 대금 정산을 일정 기간 미루고 피해 입은 이용자에게는 당근이 자체 보상을 진행한다. 안심결제를 이용한 거래에서 구매자가 거래에 이상을 감지했을 경우, 이미 거래 완료를 눌렀더라도 정산을 일시 중단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거래 물품을 받고 거래 완료를 눌렀을지라도 당근이 거래 정상 여부를 끝까지 확인한 뒤에야 판매자에게 정산을 진행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구매자가 일정 시간 내 문제를 제기하면 당근 고객센터가 거래 정황과 증빙 자료를 확인해 정산 여부를 판단한다. 구매자가 해당 기능을 사용한 뒤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산이 재개되며 이상 거래일 경우 결제가 취소된다. 자동 구매확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구매확정 미루기가 가능한 시간은 비공개로 설정했다. 시간을 기다렸다가 상품권을 사용하는 등의 악용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해당 기능은 실제 사용해 보기 전까지 유효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거래에 주로 적용된다. 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콘 등이 꼽힌다. 베타 테스트를 통해 피드백을 수렴한 후 정식 서비스로 론칭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입된 '안심보상' 제도는 안심결제 거래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보상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보상 한도는 안심결제 이용 한도와 동일한 195만원이다. 피해 발생 시 이용자는 관련 증빙을 첨부해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안심결제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고자 이달까지 2%의 수수료를 일시적으로 면제하는 '당근페이 프로모션'도 병행 중이다.
당근은 해당 기능들이 거래 경험 전반의 편의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설계라고 강조했다. 그간 당근 내에서는 조직적인 상품권 거래 사기가 기승을 부려왔다. 매너 온도를 높여 놓은 후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상품권을 판매, 대포 계좌로 선입금을 유도한 후 잠적하는 방식이다.
다만 판매자 편의에 대한 정책은 과제로 남아있다. 정상 판매자의 경우 안심거래 승낙 시, 정산 시기가 늦어지기 때문이다.
당근 관계자는 “판매자 역시 중요한 이용자인 만큼, 정산 지연에 따른 불편도 줄일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현재는 기능 추가보다 사용자 경험 개선과 정책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