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분야에 확산하는 ‘AI 에이전트’… 외교부터 치안까지
||2025.06.02
||2025.06.02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외교문서 초안 작성부터 범죄 수사 지원, 안전관리 지식 분석까지 공공기관의 다양한 현장 업무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정책 결정과 국민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입이 확산되는 가운데 대외비 정보가 많은 공공기관의 특성상 보안 체계 마련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LG CNS는 지난 29일 외교부와 ‘지능형 AI 외교안보 데이터 플랫폼’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약 300억원 규모 사업이다.
LG CNS는 해당 사업을 통해 외교 특화 생성형 AI 서비스와 플랫폼을 개발한다. ▲외교문서 초안 작성, 문서 분류 및 요약, 외교 업무 관련 정보관리 등 현업 담당자를 위한 ‘어시스턴트 AI’ ▲실시간 글로벌 이슈 모니터링 및 허위 정보 탐지를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전략수립 AI’ ▲영사 민원 챗봇 시스템을 통한 ‘대국민 AI’ 등이다.
대외비 정보가 많은 외교부 특성에 맞춰 AI 사용 전 과정에 강력한 보안 체계도 구축한다는 게 LG CNS 측 설명이다. 외교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해 데이터가 외부망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계획이다.
AI 자동화 솔루션 기업 그리드원도 최근 한국수자원공사의 ‘한난형 생성형 AI 구축 용역’ 사업을 수주했다. 그리드원의 생성형 AI 에이전트 플랫폼 ‘고두(GO;DO)’는 거대언어모델(LLM)에 업무 자동화(RPA) 기술과 광학 문자 인식(AI OCR) 솔루션 등을 결합해 업무 자동화를 지원한다.
‘한난형 생성형 AI’는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보유한 50여개의 정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포맷(HWP, PDF, DOC 등)의 문서를 자동 수집·전처리하는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AI가 최신 정보를 실시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안전관리 지식과 정보에 특화된 생성형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내부 구축형 안전 특화 LLM 개발 ▲지능형 검색증강생성(RAG) 파이프라인 구성 ▲듀얼 모드(내·외부 분리) AI 서비스 구현을 포함한다.
공공기관이 기업과 협력해 AI 에이전트를 도입하는 사례도 있다. 지난 29일 경찰청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전용 AI 에이전트 서비스 PoC(기술검증) 사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생성형 AI 기반 에이전트 서비스 ‘MS 365 코파일럿’이 적용됐다. 경찰청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7년 치 데이터를 처리·분석하는 목적으로 개발됐다.
다만 경찰청은 민간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안 위협 우려가 없는 매뉴얼 및 공개자료를 활용하는 부서에서 우선 서비스 중이다. ▲정책연구용역 심사를 담당하는 ‘미래치안정책과’ ▲경찰서 건축물을 관리하는 ‘국유재산정책TF(태스크포스)’ 등이다.
이 외에도 경찰청은 LG CNS와 AI가 작성한 조서를 요약하거나 범죄 유형별 유사한 사건 등을 보여주는 ‘AI 수사 지원 서비스’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보안 문제로 조달청 나라장터에 공개되지 않는 일부 AI 정보화 사업을 포함하면 더 많은 기관에서 AI 에이전트를 도입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의 기획 단계 사업, AI 모델 활용 자체 서비스, 국책 연구 기관 및 대학 협력 AI 연구·개발(R&D) 사업 등이 비공개 사업에 해당한다. 이에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부터 진행 중인 공공기관의 AI 활용 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공공분야의 안전한 AI 운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