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에 테슬라까지 “공짜로 해준다”…정부가 나선 ‘전격 조치’
||2025.05.30
||2025.05.30
국토부는 지난 28일, 전기차 화재 예방과 운행 안전 확보를 위한 무상 안전 점검을 전국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청라 화재 사건 이후 마련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의 후속 조치로, 현대차와 기아, 테슬라를 포함해 국산차 5곳과 수입차 9곳 등 총 14개 제작사가 대상이다.
먼저 현대차·기아, 폭스바겐·아우디, 재규어랜드로버는 연중 내내 무상 점검을 제공한다. 스텔란티스는 지난 4월부터, KG모빌리티와 르노코리아는 이달부터 점검에 착수했으며, 연말까지 서비스를 지속할 계획이다.
점검 항목은 차량의 핵심 부품인 고전압 배터리 상태와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에 배터리 하부의 외관 충격 여부까지 확인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수리를 안내한다.
특히, 구형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이 장착된 일부 차종에는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와 함께 리콜이 필요한 차량인지 여부도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가 이뤄지도록 한다.
전기차 소유주는 각 제조사의 점검 일정을 확인한 뒤, 가까운 서비스센터에 예약 후 방문하면 무상 점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정부는 차량 화재와 같은 중대 사고를 사전에 막기 위해 소비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강조했다.
국토부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전기차의 선제적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편에도 나섰다. 리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에 대해선 정기 검사 시 ‘부적합’ 판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겠다는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작년 사고 이후 국민들의 우려가 이어져 왔다”며, “이번 무상 점검을 통해 이용자들이 더 안심하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기차 대중화 흐름 속에서 안전 확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이다. 특히 10개월이라는 시간 끝에 정부가 내놓은 이번 점검 조치가, 전기차를 향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