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2조원 규모’ 국가AI컴퓨팅센터… 수익성 우려에 유찰 가능성 높아져
||2025.05.29
||2025.05.29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공모 마감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는 가운데 참여를 희망한 주요 기업들이 마지막까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당 사업이 2조원 규모의 대형 인프라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투자 비용 대비 수익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공모는 5월 30일 마감된다. 100여 개 기업이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현재까지 참여를 결정한 기업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던 삼성SDS·삼성전자·네이버 컨소시엄조차 공모 마감 직전까지 최종 참여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아마존웹서비스(AWS)도 컨소시엄을 구성했지만, 여전히 검토 중이다.
삼성SDS 관계자는 "아직 참여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며 "컨소시엄을 구성할지, 어떤 기업과 함께할지 현 상황에서는 공식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참여를 검토하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 말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전했다.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은 민관 합작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첨단 GPU 1만장을 확보하고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 규모는 약 2조원으로, 올해만 추경으로 1조4600억원이 편성됐다. 정부는 30일 사업자 공모 접수를 마감하고 이르면 8월까지 사업자를 선정해 2027년 개소할 계획이다.
기업들이 참여를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수익성에 의문이 따를 뿐 아니라 과도한 부담 때문으로 분석된다.
SPC 지분은 공공 51%, 컨소시엄 49%로 공공이 과반을 차지해 결정권이 정부에 있다. 민간 기업은 2030년까지 약 2000억원을 출자해야 한다. SPC 청산 시 공공투자 지분을 이자와 함께 매수해야 하고, 사업 존속이 어려워질 경우 기업은 정부에 이행 보증금을 반납해야 하며, 투입 비용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그럼에도 민간 기업에 주어지는 실질적 혜택은 저리 대출 정도에 그친다. 국가 차원에서 AI 컴퓨팅 인프라를 조성하는 만큼 학계·연구기관 및 중소·스타트업 기업 등에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조건도 기업들이 참여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참여를 고려하는 업계 관계자는 "이 사업에는 기업 입장에서 가혹할 수 있는 조항이 많다"고 말했다.
당초 3월 사업 참여 의향서 접수에서는 국내외 기업 및 기관 100여 곳이 관심을 보였지만, 본 공모를 앞두고는 분위기가 크게 달라졌다. 이에 정부는 기업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SPC 참여 기업이 자사 목적으로 GPU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공 수요를 AI컴퓨팅센터로 집중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SPC 수익성이 떨어질 경우 추가 재정·세제 지원책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고 강조했으나, 기업들의 참여 의지를 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업계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렇듯 복잡한 상황 속에서 이번 공모가 유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접수 기한 내 1개 이하 컨소시엄이 사업 참여를 신청할 경우 사업은 유찰된다. 이 경우 연장 공고가 이뤄질 예정이다. 연장 공고에도 최종적으로 1개 컨소시엄만 신청하면 공모 지침에 따라 적정 사업자인지 판단을 거쳐 수의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사업이 유찰될 경우 사업자 선정을 비롯한 센터 설립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