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7차 발사 계획 나올까…우주청, 사업 참여 기업 간담회 개최
||2025.05.29
||2025.05.29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2027년 6차 발사 이후 추가 계획이 좀처럼 확정되지 못하면서 산업계의 기술경쟁력 약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우주항공청이 이에 대한 지원 방안 모색에 나서면서 추가 발사 계획 윤곽이 나올지 주목된다.
우주항공청은 29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고도화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들과 발사체 사업 발전 방안 논의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누리호 체계종합을 담당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해 엔진, 구조체, 유도제어 등을 담당하는 11개 기업이 참석했다.
누리호는 성능 개량 및 발사체 신뢰도 확보를 위해 반복발사가 진행 중이다. 오는 11월 4차 발사 이후 내년 5차, 2027년 6차 발사가 순차 진행될 예정이다.
6차 발사 마무리 이후에도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상 2028년 이후 지속 발사 추진이 명시돼 있으나, 현재까지 우주청은 7차 발사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누리호 고도화 사업 참여기업들은 6차 발사 이후 사업 공백에 따른 전문인력 및 시설·장비 유지의 어려움을 지속 제기하고 있다. 6차 발사 이후에도 수요가 보장되지 않으면 그동안 축척한 기술과 노하우가 사장되고 민간 우주산업 기술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란 지적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참여기업들은 일관된 발사 수요 확보 없이는 민간 주도 우주산업이라는 말 자체가 무색해질 것이라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했다.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속 발사 물량 확보를 위한 공공 발사 수요 정보 제공, 장기 발사 계약 체결 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또 누리호 체계종합기업과 참여기업들이 실질적인 원가 절감 방안을 함께 마련하고 공동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우주청은 이번 간담회를 비롯해 그동안 민간 업계에서 지속 제기된 누리호 추가 발사 의견에 대해 내부 검토를 통해 정책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한창헌 우주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누리호 사업에 참여 중인 100여 개 기업이 생산 물량 축소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 “누리호 사업이 안정적이고 지속 추진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