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보다 얇은 필름으로 초고주파 대역 완벽 차단…세계 최고 수준 소재 합성 성공
||2025.05.29
||2025.05.29
머리카락 굵기보다 가는 필름으로 초고주파 대역 전자파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맥신(MXene) 소재가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권순용 교수 및 최은미·변강일 교수 연구팀이 이건도 서울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고순도이면서 성분 조절이 가능한 질소 치환 맥스 전구체와 이로부터 얻은 맥신 2차원 소재를 합성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맥신은 금속과 탄소층이 교대로 쌓인 2차원 나노소재다. 전기전도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합물 설계가 가능해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현재까지 대부분 맥신은 탄소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탄소를 질소로 치환할 경우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측됐으나, 공정상 어려움으로 구현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맥스 전구체 탄소 일부를 질소로 바꾸는 데 성공, 새로운 티타늄 기반 맥스 전구체 합성 공정을 개발하고 맥신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질소 치환 맥스로 개발한 맥신 필름은 사람 머리카락 굵기(약 50~100㎛) 10분의 1 수준의 얇은 막임에도 전기전도도는 현재까지 보고된 맥신 소재 중 가장 높은 수치(3만5000S/㎝)를 기록했다. 이는 우수한 차폐 성능을 뜻한다.
개발된 공정을 통해 질소 치환 정도를 0~100%에 가까운 범위까지 자유롭게 조절하면서도 전구체 단일한 결정 구조를 유지해 중간 불순물이 없는 고순도 맥스 전구체를 얻어낼 수 있다. 이는 질소 함량에 따라 맥신의 전자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응용분야에 따라 전자파 차폐·반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권순용 교수는 “질소 치환 맥신은 차세대 전자파 차단 기술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모바일 기기부터 차량·항공기 등 전자 시스템, 차세대 통신 기지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전자파 간섭을 줄이는 역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달 25일 게재됐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