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기차업계, 美·EU 관세 장벽에 아프리카서 생산·판매 공략
||2025.05.28
||2025.05.28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미국, 유럽연합(EU) 관세 장벽을 피하기 위해 아프리카에 생산·판매 거점을 세우고 있다.
27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5월 초 위둔하이 나이지리아 주재 중국 대사는 나이지리아에 자국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나이지리아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 광물인 리튬이 다량 매장된 국가다.
위 대사는 5월 15일 델레 알라케 나이지리아 광물자원개발부 장관과 만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프리카 산업화를 최우선 과제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기업들이 나이지리아에서 전기차, 배터리 완제품 생산 전 과정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고 했다.
알라케 장관은 중국 측 제안을 반기며 나이지리아 정부도 리튬을 활용한 전기차 생산 등 부가가치 창출에 집중한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은 이미 나이지리아 북부 나사라와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중국 기업 아바타 뉴에너지 머티리얼스의 경우 2024년 5월 연매출 5억달러 규모의 나이지리아 최대 리튬 공장을 가동했다.
이같은 중국의 전략은 미국과 EU가 중국산 전기차, 신에너지 기술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가속화되고 있다고 SCMP가 전했다.
특히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등 지리적으로 유럽과 가까우면서 자동차 산업 기반을 갖춘 아프리카 국가에 중국 전기차 업체 진출이 활발하다.
베이징자동차그룹(BAIC)은 올해 말까지 이집트에서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저우자동차그룹(GAC) 역시 오는 2026년 중반까지 현지에 조립 공장을 짓는다.
중국 전기차 업체는 아프리카 시장 판매도 확대하고 있다. 중국 비야디(BYD)는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등에 소형 전기 해치백 ‘돌핀’ 등을 선보였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