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판 흔드는 AI 공약… 제21대 후보 3인의 전략은
||2025.05.13
||2025.05.13
제21대 대통령 선거 정당별 후보가 결정되며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산업 육성이 공통 공약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육성 주체나 투자 규모에 관해서는 후보별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1일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결정됨에 따라 총 7명의 제21대 대선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이와 동시에 후보들은 ‘10대 공약’을 발표했다. 후보별로 기업 및 노동, 청년 관련 공약은 다르지만 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데는 의견이 일치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1호 공약으로 ‘AI 3대 강국’을 내세웠다. AI 예산을 선진국 수준으로 증액함과 동시에 민간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다.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AI 구동의 핵심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5만개 이상을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을 지원하고, ‘한국형 범용 AI(K-AGI)’는 개발 후 전 국민에게 무상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이재명 후보 캠프에는 이 후보가 직접 위원장을 맡고 있는 ‘AI강국위원회’와 ‘성장과통합’ 등 IT 싱크탱크가 모여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공약으로 ‘AI·에너지 3대 강국’을 발표했다. 100조원 규모 민관합동 펀드를 조성해 AI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고 AI 전문 인력 20만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 등 원전 비중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계획도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앞선 두 후보와 달리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한 ‘민간 중심 AI 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대규모 AI 투자 공약을 비판하고 나선 셈이다.
대신 자신을 ‘이공계·글로벌 대통령’으로 내세우고 있는 이준석 후보는 기술 자체보다는 과학기술 인재 보상에 초점을 맞췄다. ‘국가 과학영웅 예우제도’를 도입해 과학기술인의 유출을 막고 국가 연구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학습시킴으로써 AI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편, 올해 AI 관련 예산은 본예산(1조8000억원)에 지난 1일 이뤄진 추경(1조9067억원)까지 약 3조8000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반도체 등 첨단 분야 지원 예산 규모는 1조5000억원 수준이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