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혈세 47억으로 ‘택시 늘린다’ 선언.. 정부 파격 결정에 네티즌 ‘당혹’
||2025.05.11
||2025.05.11
양산시가 교통약자들의 실질적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대대적인 지원에 나섰다. 시는 올해 총 47억 원을 투입해 특별교통수단과 바우처 택시 확대를 추진하며, 시민 누구도 교통에서 소외되지 않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고령자와 장애인 등 이동에 제약이 큰 계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방향을 설정해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기존 체계를 유지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동수단 자체를 실질적으로 늘리고 서비스 품질까지 함께 개선하겠다는 점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다.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는 지역 상황을 감안할 때, 이번 조치는 교통약자 복지 향상에 있어 매우 시의적절한 대응으로 평가된다. 다만, 지원 확대와 함께 근본적인 이동권 확보 방안에 대한 고민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양산시는 올해 특별교통수단(교통약자콜택시)과 바우처 택시를 대폭 확대해 교통약자의 실질적 이동권 확보에 나선다. 특별교통수단 운영에 42억 원을 투입해 노후 차량 9대를 교체하고, 상담 서비스, 민원 대응, 이용자 등록 시스템까지 전방위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보다 친절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바우처 택시 역시 4억2,000만 원을 들여 신규 차량 30대를 추가로 투입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 60대 수준이었던 바우처 택시가 올해는 총 90대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덕분에 이동 수단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교통약자들이 보다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외곽 지역에서도 실질적인 이동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는 지난해에도 이동수단 확충을 통해 15만 746명의 이용 실적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수치다. 이용자 대기시간 감소와 편의성 증대 효과가 동시에 확인된 만큼, 올해 추가 확장은 보다 직접적인 체감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된다.
함께 본 기사: 세금 29억 '쏟아 붓겠다' 선언.. 청년층 난리 났다는 정부 정책, 뭐길래?
양산시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면허 자진 반납 지원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올해도 만 65세 이상 운전자가 면허를 반납할 경우 1,000명에게 10만 원 상당의 교통카드를 지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이 정도 수준의 인센티브만으로 고령자의 운전 포기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시골 지역이나 외곽에 거주하는 고령자들의 경우, 자동차가 유일한 이동수단인 경우가 많다. 이들에게는 10만 원 교통카드보다 실제로 대체 가능한 이동수단이 있느냐가 훨씬 더 중요한 문제다. 양산시가 이번에 특별교통수단과 바우처 택시를 대대적으로 늘리기로 한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필요에 부응한 조치로 볼 수 있다.
결국, 고령 운전자의 안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이동 대체 수단의 충분한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 양산시가 이번에 추진하는 정책들은 단순한 보조금을 넘어 실질적인 생활 기반을 바꾸려는 시도로 읽힌다. 앞으로 이 같은 방향성이 전국적으로도 확산된다면 고령자 교통안전 문제에 있어 보다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