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 불편함 ‘알 바 아닙니다’.. 시내버스 파업, 그 이유 알고 보니 ‘충격’
||2025.05.07
||2025.05.07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 준법투쟁이 시작된 30일 아침, 시민들의 발걸음은 무거웠다. 버스는 운행을 멈추지 않았지만, 예정 시간보다 10분, 길게는 20분씩 늦어지며 사실상 대중교통의 핵심 축이 느슨해진 상태였다. 갑작스러운 연착에 당황한 시민들은 실시간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연신 확인했고, 버스를 포기한 수많은 인원이 지하철로 몰리는 상황이 곳곳에서 관측됐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임금협상 결렬이다. 서울시 버스 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간 통상임금 개편을 두고 입장이 극단적으로 갈리며, 준법투쟁이라는 명분 아래 시민들의 통근 시간을 인질로 잡은 결과를 낳았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운행 중단이 아니라고 하나, 실제로는 시민들의 아침을 꼬이게 만들기에 충분한 ‘준 파업’이었다.
이번 준법투쟁은 오전 4시부터 시작됐다. 차량은 정상적으로 도로에 나왔지만, 승객이 완전히 착석한 뒤에 출발하고, 정상 속도보다 느리게 운행하는 등 교통흐름을 의도적으로 늦추는 방식이다. 그 결과 서울 시내 주요 정류장에는 이른 아침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길게 늘어섰고, 예정된 시간보다 늦게 도착한 버스 한 대에 수십 명이 몰려들며 혼잡도가 가중됐다.
현장의 혼란은 전형적이었다. 대중교통을 주요 이동수단으로 활용하는 시민들은 대체 수단을 찾기 위해 휴대전화를 붙들었고, 평소보다 더 많은 인파가 지하철역으로 몰려들면서 출근길 지연은 시내 전역으로 확산됐다.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시민이 얻게 되는 보상이나 완충 장치는 없다는 점이다. 간혹 택시를 대중 교통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택시는 대중 교통이 아니다. 애초에 시내 버스나 지하철과 그 기본 요금부터 결이 다른 소비재다.
교통대란이라는 단어는 다소 과장되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준법투쟁은 정상 운행 중이라는 명분 아래 시민의 불편함을 인질 삼아 흉기를 휘두르는 것과 비슷한 모양새다. 서울 시내 곳곳에서 버스의 운행 속도 탓에 탑승을 포기하고 지하철로 몰리는 모습은, 단체 간 갈등에 죄 없는 시민의 등만 터진다는 말을 떠올리게 했다. 단체를 위해 개인이 희생하라는 강요는 도대체 언제 적 발상인지 의문이 드는 수준이다. 물론 평소 그들의 노고를 크게 인정하지만, 이런 방식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함께 본 기사: 디자인 '진짜 미쳤습니다'.. 역대급 기록 세웠다는 기아 SUV 충격 정체
특히 출퇴근 시간에 벌어진 이번 사태는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하기 충분하다. 시민은 이 협상의 당사자도 아니고, 책임자도 아니다. 그런데 왜 매번 대중교통 갈등의 피해자가 되는가. 공공성과 복지, 노동권 모두 중요하지만, 그것이 시민 불편 위에 서야 할 명분은 아니다. 만약 중요한 일정이 있어 뉴스를 확인하지 못하고 잠든 이가 있다면 그들의 손해는 누가 어떤 식으로 감내할까? 결과적으로 시민에게 이점이 눈곱만큼도 없는 것이다.
계층과 국가를 막론하고 노동자는 그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그 권리를 실현하는 방식이 누군가의 불편을 가중하는 구조라면 그 설득력은 급격히 떨어진다. 특히 시민이 대체 수단 없이 버스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교통 생태계에서는 노조의 집단행동이 더 큰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번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행동은 준법투쟁이라는 표현을 빌렸지만, 그 안으로 들어가면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의 편의성이 무조건 인질로 잡히는 구조다. 택시를 제외하면 교통과 관련된 파업 또는 투쟁이 있을 때 교통이 마비되는 순서는 이제 당연하게 느껴질 정도다.
문제는 왜 죄 없는 시민이 반복되는 교통 갈등의 피해자가 되는지 의문이다. 이것과 관련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책임 있는 협상 구조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런 일이 벌어지기 전에 단체 간 원만한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것이 불가능한 일인가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