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전기차 탈래?”.. 또 터져버린 전기차 화재, 충격 이유가 있었다
||2025.05.03
||2025.05.03
22일 오전 5시 50분, 대구 달서구 두류동의 한 아파트 지하 2층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 소방대는 약 42분 만에 큰불을 잡았고, 차량은 지상으로 견인돼 오전 8시 14분경 완전히 진화됐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충전설비 일부가 불에 타면서 또다시 지하 충전소의 안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해당 차량이 불붙은 장소는 환기 취약한 밀폐 구조의 지하 2층이었다. 만약 진화가 지연됐다면 대형 참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지하 충전소에 대한 안전 기준이 사실상 ‘권고’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한다.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결과, 실내 공영주차장 30곳 중 63.3%가 지하에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었다. 이 중 6곳은 지하 3층 이하에 위치해 있었고, 일부는 피난계단과 맞닿아 있는 위치에 설치돼 있어 구조적 위험이 컸다. 이는 지하 2층 이내 설치를 권장하는 KFS-1130 기준을 명백히 위반한 사례다.
부산소방재난본부는 직통계단과 충전기 간 이격을 확보하라는 지침을 내놓았지만, 현실에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다. 법적 강제력이 없는 탓에 현장에서는 ‘무시 가능한 권고’로 여겨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대피 동선과 충전기가 겹치는 불합리한 구조가 고스란히 방치돼 있는 것이다.
충전소 위치만 문제가 아니다. 전체적으로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주차장 구조와 설비 전반이 미비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지금도 수많은 운전자들이 위험한 지하 공간에 차를 세우고 있다.
함께 본 기사: 신차 사면 '호X 됩니다'.. 요즘 중고차, 역대급 인기 자랑한다는 이 車
전기차 화재는 일반 차량과 달리, 고온 고압의 ‘제트 화염’이 한 방향으로 뿜어져 나오는 형태다. 이런 불길은 인접 차량이나 벽체를 순식간에 태워버릴 수 있어, 충전소 주변 이격거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조사에 따르면, 835개 주차면 중 48곳(5.7%)만이 최소한의 간격을 확보하고 있었다.
해외에서는 이격 간격을 90~120cm로 규정해 법제화하고 있지만, 국내는 여전히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일부 주차장은 고전압 전력설비와 충전소를 밀접하게 배치해 폭발 위험까지 동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단순한 과실이 아닌 명백한 구조적 부실이다.
게다가 초기 대응 장비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주차장이 절반 이상이었다. 질식소화포, 방열복 등 필수 장비가 없으면 전기차 화재는 사실상 손 쓸 수 없다. 시민들은 이런 무방비 상태에서 오늘도 지하 충전소에 차를 세우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