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CEO "美 법무부가 검색 강제 분사 요구…혁신 파괴 행위"
||2025.05.01
||2025.05.01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순다 피차이 구글 CEO가 30일(현지시간) 미 법무부의 반독점 소송에 출석해, 검색 데이터를 경쟁사에 개방하라는 요구가 사실상 구글 검색의 분사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피차이 CEO는 “법무부의 요구는 구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구글의 혁신 동력을 약화시키는 조치”라고 주장했다. 특히 검색 데이터를 타사에 제공할 경우, 구글의 핵심 기술이 역설계될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관련해 IT 매체 아스테크니카(Ars Technica)에 따르면, 피차이 CEO는 “이 조치가 시행되면 구글의 연구개발 투자 자체가 무의미해질 것”이라며 “지난 20년간 구축해온 기술적 우위를 잃게 될 것”이라고 항변했다.
구글은 법무부의 요구가 지나치게 과도하며, 크롬과 크로미엄 같은 오픈 웹 표준을 지지해온 구글의 입장과도 맞지 않는다고 항변했다. 피차이 CEO는 “구글이 모든 시장에서 승리한 것은 아니다”라며, 소셜 네트워크 구글 플러스의 실패를 사례로 들며 법무부의 독점 주장을 반박했다.
이에 대해 법무부는 구글이 과거 소셜 네트워크 ‘구글 버즈’를 G메일과 통합하며 프라이버시 문제를 일으켰던 사례를 지적하며, 구글이 사용자 보호보다 시장 지배력을 우선시한 전례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번 반독점 소송에서 구글이 불리한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피차이 CEO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구글이 향후 법적 대응에서 얼마나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