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2025년 실적 전망 철회…심화되는 불확실성에 따른 결정
||2025.04.30
||2025.04.30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는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했다고 4월 30일 밝혔다. 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수입 관세 정책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 증가와 이에 따른 수요 위축 가능성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1분기 실적 하락…관세 영향 본격화
메르세데스-벤츠의 2025년 1분기 그룹 기준 영업이익(EBIT)은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한 23억 유로(약 26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력인 승용차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9%에서 7.3%로 하락했다 .
지역별로는 유럽과 중국 시장에서 각각 10%의 판매 감소를 보였으며, 미국 시장에서는 1% 증가했다. 전체 차량 및 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메르세데스-벤츠는 미국의 자동차 수입 관세 정책이 고객 행동과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예측하기 어려워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관세가 유지될 경우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
회사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하랄드 빌헬름(Harald Wilhelm)은 관세가 연간 내내 유지될 경우 자동차 부문의 이익률이 최대 3%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중국 시장 대응 및 전기차 전략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회복을 위해 메르세데스-벤츠는 최근 상하이 모터쇼에서 새로운 전기 리무진 밴 시리즈 '비전 V(Vision V)'를 공개했다. 이 차량은 실내를 개인 영화관이나 노래방으로 변환할 수 있는 대형 스크린과 침대로 변환 가능한 라운지 체어를 갖추고 있다 .
원선웅의 '뉴스를 보는 시선'
메르세데스-벤츠의 실적 전망 철회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도전 과제를 반영한다.
1.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수입 관세 정책은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미국 시장에서의 재고를 늘려 관세 영향을 완화하려 했으나,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2. 중국 시장의 경쟁 심화: 중국 내 전기차 시장에서 현지 업체들의 급성장으로 인해 메르세데스-벤츠와 같은 전통적인 프리미엄 브랜드는 가격 경쟁력과 제품 다양성 측면에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3. 전기차 전환의 비용 부담: 전기차로의 전환은 필수적이지만, 초기 투자 비용과 생산 비용이 높아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용 절감과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기차 모델 출시를 통해 시장 점유율 회복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는 단기간 내 해결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2025실적 #트럼프관세 #전기차전략 #자동차산업동향
지리(Geely) 그룹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대형 SUV ...
blog.naver.com
아우디 코리아(사장 스티브 클로티)가 프리미엄 중형 세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더 뉴 아우디 A5’를...
blog.naver.com
볼보자동차는 소형 전기 SUV 'EX30'의 생산을 벨기에 헨트(Ghent) 공장에서 본격적으로 시...
blog.naver.com
닛산자동차는 2025년 상하이 모터쇼에서 자사의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픽업트럭인 '프론...
blog.naver.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