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에 ‘보이스피싱’ 우려 확산...안심거래 서비스 인기
||2025.04.29
||2025.04.29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A씨는 SK텔레콤 유심(USIM) 관리 서버 해킹 소식에 보이스피싱 범죄 우려부터 들었다. 최근들어 지인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한 의심스런 전화가 늘었기 때문이다. 급하게 유심 교환을 위해 집 근처 SK텔레콤 대리점을 방문했지만 줄이 까마득했고, 걱정이 커진 A씨는 우선 주거래 은행의 여신거래 안전 서비스부터 가입을 했다.
SK텔레콤의 관리 서버 해킹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며 여신거래 안전 서비스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유심 물량 부족으로 교체에 차질을 빚자, 소비자들이 직접 나서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여신거래 차단 서비스를 찾아 나선 것.
대표적으로 주거래 은행을 통해 신규 여신거래를 차단하는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가 있다. 은행·금융투자·보험·여신전문·저축은행·상호금융 및 우정사업본부 등 4012개 금융사의 신규 대출 거래를 일괄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신분증을 들고 주거래은행을 방문하거나, 뱅킹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도 가능하다. 1번의 신청으로 모든 금융사의 대출 신청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 등록 대부업자 대출은 제외된다.
금융권의 '수시입출식 계좌 신규 개설 일괄 차단 서비스'도 있다. 수시입출식 계좌는 입출금통장·증권사 종합계좌·CMA 등이 포함된다.
신분증이나 휴대전화 분실 등 명의도용에 따른 계좌 개설이 우려되는 상황에 신청하는 서비스다. 현재 온라인 상에서 누리꾼들은 유심 해킹으로 내 정보가 대포통장 개설에 악용되거나, 자산을 빼가는 등 최악의 상황까지 우려하고 있어 이 서비스가 유용할 수 있다.
타인이 내 명의를 도용해 이동전화 개통을 사전에 차단하는 '엠세이퍼'도 있다. 통신사 패스(PASS)앱 또는 카카오뱅크로 신청할 수 있다. 패스앱 내 혜택 탭에서 가입 사실 현황을 조회하면 조회일 기준 본인 명의 통신서비스 개통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SK텔레콤은 전날 고객 피해 방지대책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이후 불복 유심복제로 인해 이용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100% 보상하겠다고 했다. 다만 이는 타인이 고객의 유심 정보를 탈취, 복제하더라도 타 기기에서 고객 명의로 통신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부가 서비스다. 피해 발생 후 보상을 하는 서비스이지 피해 방지책은 아닌 상황이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