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SKT 해킹 사태 직접 대응…전 정부기관에 보안 조치 요청
||2025.04.29
||2025.04.29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이 직접 대응에 나섰다. 전 정부기관에 전면적인 보안 조치와 유심 교체를 요청해 파장이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지난 28일 모든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에 SK텔레콤 유심을 사용하는 업무용 기기 대상 보안 조치를 추진해 달라고 밝혔다.
우선 국정원은 무선 통신망 기반 영상신호 전송, 교통신호 제어용, 원격 계측 및 검침 등에 활용되는 LTE(4G) 및 5G 라우터(공유기)의 유심을 교체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또 업무용으로 사용 중인 휴대폰, 태블릿, LTE(4G)/5G 에그 등 모바일 단말기기의 유심도 교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심 교체 이전까지 업무용 단말, 기기 대상 ‘유심보호서비스’ 부가서비스를 가입할 것을 권고했다.
국정원은 법인명의 다수 등록 기기의 경우 SK텔레콤과 협의해 일괄 조치방안 강구하도록 요청했다.
국정원은 이번 요청이 국가정보원법의 사이버공격 및 위협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사항이라고 법적인 것임을 명확히 했다. 동시에 국정원은 전 부처, 기관에 주요 시스템 점검과 보안조치 강화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내용은 방송통신위원회, 감사원, 국무조정실, 법제처,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국방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통일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모든 중앙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에 전달됐다. 그리고 산하 및 소속 기관들에도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전파하고 확인해줄 것도 당부했다.
보안 업계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SK텔레콤 유심 사태를 주관하고 있지만 원인 규명과 대응이 계속 늦어지면서 국정원이 직접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더 늦어질 경우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국정원의 요청에 각 기관들은 비상에 걸린 상황이다. 각 기관 보안 담당자들은 시스템 점검과 함께 내부에 SK텔레콤 기기와 SK텔레콤 통신사를 사용하는 직원들을 파악하고 있다.
모 정부부처 관계자는 “보안팀에서 소속 및 산하 기관에 SK텔레콤 유심 칩 사용 업무용 단말 및 기기를 보유한 경우 자체 긴급조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문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며 “직원들에게도 신속한 유심 교체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 및 공공기관 관계자들도 유심을 구하지 못해서 난처한 상황은 마찬가지다. 한 공무원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했지만 유심을 교체해야 할 것 같다”며 “그런데 언제 교체할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이다. 빠른 유심 교체를 요구하고 있어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바꾸는 방안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