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킥보드 퇴출’ 선언.. 정부, 역대급 결정에 운전자들 환호 폭발
||2025.04.27
||2025.04.27
최근 몇 년 사이, 도심 속 안전을 위협하는 ‘킥라니’ 현상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전동 킥보드가 보행자와 충돌하거나, 골목길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돌발 상황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했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는 보행 안전 확보를 위한 강력한 제재 수단으로 ‘킥보드 없는 거리’ 정책을 본격 시행한다.
가장 먼저 변화가 시작되는 곳은 유동 인구가 많은 홍대 레드로드와 서초 학원가 일대다. 서울시는 경찰청과 협의를 마치는 대로 이르면 이달 말부터 해당 구간에서 전동 킥보드 운행을 전면 금지할 예정이다. 이는 그동안 제도권 내 실효성 있는 안전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서울시의 본격적인 반격으로 해석된다.
서울시는 지난달 조례·규칙심의회를 통해 전동 킥보드의 통행을 금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본 조례는 보행자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시민들의 여론을 반영해 추진되었으며, 서울시와 경찰청은 현재 마지막 조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정책의 주요 대상지는 ‘킥보드 사고 다발 지역’으로 손꼽히는 홍대 레드로드와 서초구 학원 거리다. 이들 지역은 유동 인구가 많고 보행자 중심 환경이 조성돼 있음에도, 그동안 전동 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따라서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빠른 조치가 요구되어 왔다.
서울시는 우선 해당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정책을 시행한 후, 효과 분석을 통해 추후 대상 지역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25곳까지 확대하는 안이 검토 중이지만, 경찰 인력 부족과 일부 이용자의 반발은 정책 확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함께 본 기사: 음주운전 신고하면 '10만 원'.. 국내 역대급 포상금, 드디어 나왔습니다
서울시가 지난 9월 진행한 시민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5.5%가 전동 킥보드로 인한 충돌 위험을 직접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88.1%의 응답자가 ‘킥보드 통행금지 구역 지정’에 찬성 의사를 밝혀, 제도 도입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의 핵심은 전동 킥보드가 돌발적으로 등장해 사고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2020년부터 최근 3년간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는 총 5,018건, 사망자는 55명에 달한다. 이는 킥보드가 편의성을 넘어, 생명과 직결된 위험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이제야 제대로 된 조치가 나왔다.”, “아이랑 안심하고 걸을 수 있겠다”라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무분별한 킥보드 운행에 불안함을 느껴온 시민들 사이에서 서울시의 이번 결정은 반가운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