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만 있다고 소버린AI 아냐...기반 기술·사업 정당성도 고려해야"
||2025.04.23
||2025.04.2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모델만 있다고 소버린 AI가 되는 건 아니다. 모델을 지원하는 기술 기반은 물론 국가와 기업들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도 검증이 필요하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소버린 AI와 관련해 모델을 넘어 종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부각하고 나섰다. AI 모델을 자체 개발했다고 해서 소버린 AI로 이어지는건 아니며 데이터센터 및 인프라, 클라우드 플랫폼, GPU 서비스 등 AI를 지원하는 기술적인 기반들도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였다.
김 대표는 23일 오전 개최한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 행사에서 "소버린 AI는 모델만 있다고 되지 않는다. 기업과 국가 차원에서 엄청난 투자가 들어가는 만큼, 이를 이용해 사회에 국가, 기업들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도 검증이 필요하다. 소버린 AI는 해당 국가들이 직면한 실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하고, 네이버클라우드도 이와 관련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강조했다.
AI 기반으로 독거 노인들에게 안부 전화를 제공하는 클로바 케어콜 서비스도 이같은 고민에 따른 결과물이란게 김 대표 설명. 김 대표는 "한국에 이어 최근 일본 한 도시에서도 케어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한국수력원자력 특화 생성형 AI 구축, 한국은행과 진행하는 하이퍼클로바X 기반 금융 경제 특화 AI 모델 프로젝트 등을 네이버식 소버린 AI 개념이 녹아든 사례들로 소개했다.
김 대표는 "소버린AI는 개별 국가가 가진 문제들을 AI로 해결하는 것이다. 안보와 보안 등 외국에 양보할 수 없는 영역들에 AI를 공급한다는 것에 소버린AI의 의미가 있다. 국가들 간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소버린AI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오픈AI가 챗GPT를 내놓기 전인 2021년부터 소버린AI를 강조해왔고 최근에는 소버린AI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유원 대표는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 국가들은 소버린AI에 대한 의지는 강하지만 기술적 기반은 준비가 되지 않아 매력적인 시장이다. 조만간 좋은 소식들을 들려들 수 있을 것이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네이버는 이날 테크밋업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하이퍼클로바X 경량 모델 3종 ▲하이퍼클로바X 시드 3B(HyperCLOVA X SEED 3B) ▲하이퍼클로바X 시드 1.5B ▲하이퍼클로바 X 시드 0.5B 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매개 변수가 30억개인 하이퍼클로바X 시드 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 등도 지원한다. 1.5B 모델의 경우 다양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활용 가능하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성낙호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1.5B 모델은 영어와 일본어 등 주요 언어들 간 기본적인 번역 작업, 특정 톤으로만 대화 하기 등 고도화된 명령 수행이 가능해 비즈니스 애플케이션이나 챗봇 등에 적합하다. 이정도 규모로 이 역량을 발휘하는 것에 대해 내부 개발자들도 많이 놀랐다. AI는 빠르게 진화하 고 있다"고 말했다.
성낙호 총괄은 실용성 측면에서 경량 모델들을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네이버 전체적으로 300여개 프로젝트들에 하이버클로바X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중 40% 정도가 경량 모델들에 기반한다"면서 "모든 서비스들에 대형 모델들을 적용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경량 모델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클라우드는 플래그십 모델인 하이퍼클라우드X에 음성과 영상을 커버하는 멀티모달, 지능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추론 모델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고도화하면서 서비스들에 필요한 경령 모델들을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운영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