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소버린AI 위해 하이퍼클로바X 오픈소스로 공개”
||2025.04.23
||2025.04.23
네이버클라우드가 하이퍼클로바X 경량 모델 3종을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이는 대한민국 AI 생태계 주권을 지키고자 하는 ‘소버린(Sovereign) AI’ 전략 때문이다. 소버린 AI는 네이버가 추구하는 전략으로 특정 국가나 기업이 AI를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23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테크밋업’에서 소버린 AI와 온서비스 AI 전략 의미를 설명하고 해당 전략을 위한 오픈소스 AI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시드(HyperCLOVA X SEED)’ 3종을 소개했다.
김 대표는 “외부 기술 의존 없이 독자적으로 AI를 통제할 수 있어야 진정한 AI 주권(소버린 AI)을 가질 수 있다”며 “대한민국은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인프라, 슈퍼 컴퓨팅 인프라,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역량을 모두 갖춘 거의 유일한 나라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화로울 때는 몰라도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갈등이 심화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질 땐 우리 스스로 AI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않으면 굉장히 힘들어지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며 “소버린 AI는 그 나라의 언어를 잘 이해하는 생성형 AI, 그 나라의 가치관과 관습을 잘 이해하는 AI는 기본이고 AI를 위한 기반 역량과 사업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김 대표의 발언을 요약하면 네이버 AI 사업전략 ‘온서비스 AI’는 소버린 AI 중 사업 기반에 해당한다.
김 대표는 온서비스 AI를 위해 필요한 것이 경량화 모델과 추론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테크밋업에서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을 소개한 배경이다.
그가 이날 소개한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시드 3종은 각각 하이퍼클로바 X 시드3B, 하이퍼클로바 X 시드 1.5B, 하이퍼클로바 X 시드 0.5B다. B 앞의 숫자가 작을수록 경량 모델이다.
3B는 이미지와 영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델로 벤치마크 9종 평균 점수에서 비슷한 규모의 미국·중국 AI 모델 점수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퍼클로바가 한국어를 가장 잘 이해하는 AI라는 말이다.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 안에서 네이버 서비스를 위해 만든 기술이지만 우리나라 전체의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도움이 됐으면 해서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만큼 소버린 AI를 위한 것이라고 말을 붙이면 좋을 것 같다”며 “경량 모델과 함께 온서비스 AI를 위한 양대 축인 추론 모델은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