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한화, 트럼프 취임식에 고액 기부 ‘줄줄이’
||2025.04.22
||2025.04.22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삼성전자와 현대차, 한화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취임식에 수십억 원에 달하는 고액 기부를 한 사실이 공개되면서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들 기업은 과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는 기부하지 않았던 반면, 고율 관세와 규제 강화가 예고된 트럼프 행정부에는 적극적인 ‘정치적 투자’를 단행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는 현지시각 20일(한국시간 21일) 기부자 명단을 공개했다.
이 명단에 따르면, 현대차는 북미법인인 ‘현대 모터 아메리카’를 통해 지난 1월 6일 100만달러(약 14억2000만원)를 트럼프 취임식 준비위원회에 기부했다. 삼성전자는 1월 13일 미국 법인 ‘삼성 일렉트로닉스 아메리카’ 명의로 31만5000달러(약 4억5000만원)를 현물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그룹도 ‘한화디펜스USA’와 ‘한화큐셀 아메리카’를 통해 각각 50만달러씩 총 100만달러를 전달했다.
삼성은 트럼프의 1기 취임식이 열린 2017년에도 10만달러를 기부한 바 있다. 이번 2기 취임식 기부는 당시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반면 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 때는 세 기업 모두 공식 기부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기업들의 기부 배경엔 ‘고관세 회피’라는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는 취임 전부터 반도체·자동차·태양광 등 한국 주력 산업을 겨냥한 고율 관세 부과를 공언해 왔다.
실제로 한화큐셀은 미국의 태양광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현대차 역시 미국 내 공장을 다수 보유하며 주요 완성차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가전 등 미국 수출 주력 제품군이 관세 정책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기부 이후 해당 기업들과 관련한 긍정적 기류가 포착됐다. 한화 김동관 부회장은 트럼프 취임식 전야 만찬에 VIP로 초청됐고, 미국 상무부는 지난 20일 한화큐셀 등 7개 업체가 제기한 중국 태양광 패널 관련 청원을 받아들여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차 정의선 회장은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백악관 행사에서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트럼프 2기 취임식에는 총 2억3900만 달러(약 3400억원)의 기부금이 모였으며, 이는 미국 대통령 취임식 역사상 최대 규모다. 주요 기부 기업 중에는 애플, 메타, 오픈AI, 엔비디아, 마이크론 등 미국 내 기술 대기업이 다수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불편한 관계’였던 일부 빅테크 기업인 아마존, 구글, 메타도 이번에는 각각 100만달러씩 기부해 눈길을 끌었다. 트럼프의 정책에 직접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체들의 ‘전략적 선택’이 올해 초 미국 정계의 풍경을 재구성하고 있다.
외국계 기업 중에서는 일본 토요타와 독일 BMW 등도 100만달러 이상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대부분 미국 현지 법인을 통해 기부를 진행했으며, 이는 연방법상 외국 기업의 직접 기부가 금지된 데 따른 우회 방식이다. 이 같은 ‘관계 구축용 기부’는 미국 정치·경제계에서 사실상 관행처럼 이어져 왔지만, 특정 정부와의 밀착 논란이 불거질 경우 기업 이미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