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산 NPU 팜 확대…AI 반도체 상용화 박차
||2025.04.22
||2025.04.22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가경정예산을 바탕으로 신경망처리장치(NPU) 실증팜 규모를 확대하고 최신 AI 모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업계는 GPU 중심이었던 AI 인프라 전략이 NPU로까지 옮겨오며 빠른 상용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임시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1조8000억원 규모 AI 추경 정부안을 바탕으로 AI 컴퓨팅 자원 확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추경을 통해 앞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국가AI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를 본격 추진한다.
특히 이번 추경으로 국산 AI반도체 상용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추경을 활용해 국산 AI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을 점검한다. 관련 예산을 298억원에서 752억원으로 증액하고 최신 LLM 구동 실험 등을 지원한다.
핵심은 NPU 성능을 검증하는 대규모 실증팜(Farm)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50페타플롭스(PF)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120PF 규모 실증팜을 구축해 국산 NPU 성능을 검증할 방침이다. 기존 실증팜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거대언어모델(LLM)과 추론 AI 모델을 돌리는 데 NPU가 얼마나 성능을 발휘하는 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국산 AI반도체 상용화 가능성을 조기에 확인하는 게 과기정통부 목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NPU의 AI 인프라 적용을 위해서는 스케일업한 클러스터링 환경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대규모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실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의 AI 컴퓨팅 인프라 확산 전략은 엔비디아로 대표되는 GPU 확보에 집중한 경향이 있었다. 이에 국산 AI 반도체 업계에서는 특정 GPU 종속 문제와 향후 추론 AI 시장 확대에 대비해 NPU 확산에 힘을 기울이자는 의견을 제시해왔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지난달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번 추경(논의)에서 GPU 확보만 이야기가 되는 것이 무척 아쉽다"고 토로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방안이 한국이 강점을 가진 NPU 분야 경쟁력을 높여 AI G3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11월 국가AI컴퓨팅 센터가 개소되는 가운데 2030년까지 국산 NPU를 50% 이상 활용할 것을 목표로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은 현재 리벨리온을 비롯해 퓨리오사AI 등 다수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리벨리온은 SK텔레콤 AI 반도체 계열사 사피온과 합병했고, 퓨리오사 AI는 메타의 인수 제안을 받는 등 기술력과 시장성을 인정받았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들과 논의를 거쳐 올해 중 대규모 실증팜 지원 공모를 낼 예정이다. 월드 베스트 LLM(WBL)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LLM도 이 실증팜을 통해 국산 NPU 적용 가능성을 테스트할 계획이다. WBL은 AI 정예팀을 선정해 글로벌 수준 AI모델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과기정통부는 이 밖에도 이번 추경을 바탕으로 국산 NPU 기반 AX디바이스 개발과 해외실증 확대를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소규모 AI 모델 중심으로 많은 실증이 이뤄졌지만 이제는 여러 고성능 LLM이 나온 만큼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실증해야 한다"며 "기존에 하지 못했던 부분을 이번 추경을 통해 조속히 실행하려 한다"고 말했다.
업계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AI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후순위였던 국산 NPU 실증 예산이 늘어난 건 AI 반도체 기술 자립 가능성을 정부가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실증 확대가 단기 과제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서는 한국의 AI인프라 자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 연속성과 시장 기반을 함께 설계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추경안을 22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회 심의 기간 등을 감안하면 다음달 쯤 추경 규모가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