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기차 음극재 시장, 중국이 95% 장악…한국 점유율 2.7%
||2025.04.15
||2025.04.15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음극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시장은 사실상 중국 업체가 독점하는 구조로 굳어지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음극재 시장의 95%를 장악한 가운데, 한국은 점유율 3% 안팎에 머무르며 기술 주도권 경쟁에서 밀려나 기술력과 공급망 전략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음극재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시장 지배력이 절대적이며, 한국과 일본 업체들은 여전히 제한적인 점유율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세계 전기차(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음극재 총 적재량은 약 15만15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도 6만2000톤이 적재돼 28.2%의 성장률을 보이며 안정적인 증가세를 기록했다.
업체별 점유율은 중국 샨샨과 BTR이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이들은 CATL, BYD, 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벌 주요 배터리 제조사에 음극재를 공급하며 광범위한 고객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샹타이이, 카이, 지첸 등 다른 중국 업체들도 1만톤 이상의 적재량을 기록했으며, 신줌은 전년 대비 68.2% 늘어난 물량을 공급해 고성장세를 보였다.
법인 국적별로는 중국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95%를 차지해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다. 중국 업체들은 꾸준한 생산 능력 확대와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실리콘 복합 음극재와 같은 고부가가치 소재를 확대 적용하며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도 강화하는 추세다.
반면, 한국 기업들의 점유율은 2.7%에 불과했다. 포스코퓨처엠과 대주전자재료를 중심으로 배터리 제조사들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의 물량 공세와 기술 장벽을 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일본 기업들의 점유율도 2%로, 히타치, 미쓰비시 등 전통 음극재 업체들이 기존 고객사 중심의 보수적 운영으로 인해 시장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SNE리서치는 “최근 미국의 중국산 소재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 기업들은 생산 거점 다변화와 고성능 음극재 기술 확보를 통해 대응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