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車 수출 ‘선방’…美 수출은 ‘전기차 침체·관세 직격탄’
||2025.04.15
||2025.04.15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한국의 3월 자동차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지만, 미국 시장에서는 전기차 수요 정체와 관세 영향으로 수출액이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정부와 업계는 4월부터 본격화된 미국의 수입차 25% 관세가 향후 수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대응 강화에 나섰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3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보다 1.2% 증가한 62억4,000만 달러로, 3월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수출 물량은 24만874대로 2.4% 감소해 판매 단가 하락과 전기차 수요 둔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북미 지역, 그중에서도 미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3월 대미 수출액은 27억8,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0.8% 줄었고, 1분기 전체로도 11.2% 하락한 77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전기차 수요 일시 정체 현상인 ‘캐즘(Chasm)’과 지난해 높은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가 겹친 결과"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이달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25% 품목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 감소세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지난 9일 자동차 산업 긴급 대응 대책을 발표했으며, 실질적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장 모니터링과 대미 협상 진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3월 전체 친환경차 수출은 5.8% 증가한 6만8,760대를 기록했지만, 전기차만 놓고 보면 25.0% 감소한 2만757대에 그쳤다.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25.3% 증가하며 친환경차 수출 확대를 견인했다.
내수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가 각각 22.6%, 122.6% 증가하며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13.6% 늘었다. 국내 자동차 생산도 1.5% 증가해 37만대를 돌파, 1분기 누적으로는 3년 연속 100만대를 넘겼다.
자동차 업계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수출 충격이 본격화되기 전에 정부가 발 빠르게 대응하고 대미 협상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