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CSO "AI 혁명에 韓 기업들 역할 커...현지 파트너십 중요"
||2025.03.25
||2025.03.25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오픈AI가 새로운 AI 기술 확산에 한국 기업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기업들이 AI 혁명에 핵심 역할을 할 거라는 의견이다.
제이슨 권(Jason Kwon)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이 같이 밝혔다.
권 CSO는 영상 기조연설에서 AI 컴퓨팅 인프라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모델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력한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권 CSO는 "한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이 정말 중요하다"며 "삼성과 SK하이닉스는 HBM 분야에서 정말 중요한 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HBM은)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추론 칩을 설계할 때 중요한 기술"이라며 "이러한 회사들은 AI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파트너십이 AI 기술 확산에 핵심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AI 모달리티 중 하나가 언어인 만큼 해당 국가 파트너를 확보하는 게 AI 모델의 성공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앞서 한국산업은행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카카오와도 협력해 오픈AI 거대언어모델(LLM)을 일부 제품에 통합하고 있다.
권 CSO는 "현지 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이 우리 전략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정말로 신경 쓰는 건 (오픈 AI) 기술이 각 나라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데이터센터, 에너지, 반도체, 모델 레이어, 소프트웨어 앱 등 AI 전략을 수립하는 국가가 전체 AI 생태계에서 무엇을 보유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 CSO는 "정말 중요한 것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하는 모델이 해당 국가 문화와 언어에 맞게 언어적, 논리적으로 현지화하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정 국가에서 우리 모델을 제공할 때 해당 언어와 문화적 가치에 맞게 모델이 더 잘 조정되도록 노력을 기울인다"며 "모든 국가가 AI를 인프라적인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권 CSO 기조 연설 이후에는 AI 기업들이 'AI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의 시너지, 한계를 뛰어넘다'를 주제로 패널토의를 진행했다. 람다, 텐서웨이브,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트웰브랩스 등 6개 기업이 AI컴퓨팅 인프라 확충과 효율적인 AI 모델 개발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오늘 컨퍼런스에 논의된 내용을 잘 반영해 AI 컴퓨팅 인프라 신속 확충, 글로벌 탑 수준 AI 모델 개발 집중 지원 등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