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싹 잡겠다 선언’.. 정부, 세계 최초 ‘이것’ 도입합니다
||2025.03.24
||2025.03.24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며 소비자들의 불안이 극에 달한 가운데, 정부가 세계 최초로 ‘BMS 보호기능 평가’를 자동차 안전도 평가(KNCAP)에 공식 도입했다. BMS, 즉 배터리관리시스템은 단순한 부품이 아닌 전기차 안전의 핵심으로, 전기차의 ‘두뇌’라 불릴 만큼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평가하는 체계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전기차 산업 전반의 기준이 바뀌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이 BMS의 신기술이 적용된 차종만 해도 25개에 달한다. 여기에 배터리 사전인증제도, 이력관리 시스템까지 연계되며, 정부는 전기차 안전관리 체계를 ‘배터리 중심’으로 전환하는 중이다. 단순히 자동차 한 대를 평가하는 수준이 아니라, 전기차 전주기 안전을 BMS라는 하나의 기준에 따라 재편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전기차 배터리의 온도, 전압, 충방전 상태, 셀 간 균형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관리하는 전자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면 충전 중 과열을 차단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경고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이 기능이 없거나 미흡할 경우, 주차 중 배터리가 과열돼 화재로 이어지는 일도 빈번하다.
특히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초기 진압이 어렵고 피해 규모도 크다. 실제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전기차 화재 156건 중 절반 이상인 85건이 배터리 발화였으며, 그중 대부분은 주차나 충전 중에 발생했다. 문제는 과거엔 BMS가 화재 전조증상을 감지해도, 이를 외부로 전달하거나 자동 대응할 시스템이 없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배터리 상시 감시 ▲자동 신고 ▲정보 저장이라는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BMS 보호기능 평가’를 KNCAP에 도입했다. 이는 단순한 기능 점검이 아니라, 전기차의 실질적인 화재 대응 능력을 국가가 공인하는 첫 사례다. 이제는 BMS 성능이 차량 안전도의 새로운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는 셈이다.
함께 본 기사: "웬수한테 추천하세요".. 튜닝 중고차, 잘못 사면 '이런 일' 벌어진다
정부는 BMS 보호기능 평가를 단순한 제도에 그치지 않고, 전기차 관리 체계 전체로 확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배터리 사전인증제도를 추진 중이며, 이는 배터리 구조와 성능을 차량 장착 전 단계에서 미리 검증하는 제도다.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배터리는 아예 차량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겠다는 강력한 조치다.
또한, 배터리 제조사 정보부터 성능·수명·잔존가치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배터리 이력관리 시스템’도 마련된다. 이 시스템은 향후 중고 전기차 시장에서 BMS 작동 기록과 배터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핵심 도구가 될 전망이다. 더 나아가 차량 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를 기재하는 방안까지 추진되고 있어, 배터리의 모든 기록이 투명하게 남게 된다.
궁극적으로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전기차에 대한 신뢰 회복이 목표다. BMS를 중심으로 한 통합 관리체계가 구축되면, 그동안 전기차 대중화의 최대 걸림돌로 꼽혔던 ‘불안감’ 해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기차 캐즘 현상을 넘는 전기차 보급, 그 중심엔 이제 BMS가 있다. 지금이야말로 소비자도 제조사도 이 시스템의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해야 할 때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