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모비스 특허 7만건 넘겨…1년 새 10% 증가
||2025.03.24
||2025.03.24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주요 3사의 국내외 특허 보유 건수가 7만 건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해 10%가량 증가한 수치다. 현대차그룹이 미래기술 분야와 친환경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23일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각 사의 ‘2024년 사업보고서’를 종합하면 3사의 합산 특허 보유 건수는 지난해 말 기준 7만1882건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 6만5534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9.7%(6348건) 늘었다.
3사 가운데 1년 새 특허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기아다. 2023년과 비교해 18.2% 급증했다. 기아는 지난해 말 기준 국내 8308건, 해외 1만5099건 등 총 2만3407건의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의 특허 보유 건수는 3만9385건으로 4.2% 증가했다. 국내 1만6526건, 해외 2만2859건 등이다. 현대모비스는 국내 4494건, 해외 4596건 등 총 9090건의 특허를 보유 중이다. 2023년보다 14.4% 늘었다.
현대차그룹 3사의 특허 보유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2만1023건으로 처음으로 2만 건을 넘겼다. 이후 3년 만인 2016년 3만433건, 2020년에는 4만357건을 돌파했다. 2021년 5만637건, 2023년 6만3007건을 넘긴 후 1년 만에 다시 7만 건을 돌파한 것이다.
현대차·기아 측은 “당사 제품 및 사업에 적용되거나 향후 사업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있는 기술을 특허로 확보하고 있다”며 “보유 특허는 당사 제품과 사업을 보호하고 경쟁사에 대한 기술 및 사업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는 자율주행,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정보기술(IT) 서비스 등 차량의 전자화와 관련된 미래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등 친환경차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 밖에 로봇, 수소 등 신사업 분야에 대한 특허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현대차·기아는 전기차의 회생 제동을 이용해 가속페달 조작만으로 가·감속과 정차까지 가능한 ‘아이 페달 3.0’, 전방의 차량 흐름과 운전자의 감속 패턴 등 다양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활용해 주행 상황별로 최적의 회생 제동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스마트 회생 시스템 3.0’ 등 전기차와 자율주행 등과 관련한 기술을 다수 확보했다.
현대모비스 역시 자율주행과 전동화 등 차세대 기술 관련 특허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미래기술 선점을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특허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다양한 특허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해 임직원들의 발명 활동과 특허 출원을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