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지하 주차장 화재 시 대피 어려워…안전 강화 시급
||2025.03.21
||2025.03.21
최근 전기차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열폭주로 인해 주변 차량과 시설까지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실내 공영주차장의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을 조사한 결과, 소방대원의 화재 진압과 민간인의 대피에 부적합한 위치에 설치된 사례가 많았으며, 주차면 간 이격거리가 없어 화재 확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화재가 지하에서 발생할 경우, 소방차와 소방대원의 신속한 접근이 어렵고 밀폐된 공간 내에서 연기와 열이 갇혀 대피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한국화재보험협회의 ‘전기차 충전설비 안전기준(KFS-1130)’에서는 전기차 충전설비를 지상에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불가피한 경우에만 지하 2층 이상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 30개 주차장 중 19개소(63.3%)가 지하층에 충전시설을 두었으며, 이 중 6개소(20%)는 지하 3층 이하에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진압이 어려울 가능성이 컸다.
또한, 직통계단(피난계단) 근처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와 열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화재 진압과 대피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부산소방재난본부의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에 따르면,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은 직통계단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조사 대상 30개소 중 10개소(33.3%)는 직통계단과 인접한 위치에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이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대피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화재는 제트 화염이 발생해 주변 차량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차면 간 충분한 이격거리가 필요하다.
영국의 ‘실내 주차장: 전기차 화재 안전 가이던스’에서는 주차면 간 최소 90cm~120cm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된 30개 주차장에서 총 835개의 전기차 전용 주차면 중 이격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곳은 48개(5.7%)에 불과해 화재 확산 우려가 제기됐다. 더불어 조사된 20개 주차장 중 2개소(6.7%)에서는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이 고전압 시설 등 위험구역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있어 대형 사고 가능성이 존재했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해 일반 분말 소화기로 진압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질식소화포 등의 초기 대응 설비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조사 대상 30개 주차장 중 절반인 15개소(50%)만이 질식소화포를 비치하고 있어 초기 화재 대응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조사 결과를 주차장 관리주체와 공유하며, 전기차 전용주차구역과 충전시설에 대한 소화설비 설치 및 관리 강화를 권고했다. 또한, 관계부처에는 전기차 화재 특성을 고려한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의 안전 기준 마련을 건의할 예정이다.
소비자들은 전기차 충전시설 이용 시 안전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안전 대책도 함께 강화되어야 할 시점이다.
우먼컨슈머 = 임기준 기자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