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AI 스타트업 90%가 AWS 쓴다...지원 확대할 것"
||2025.03.18
||2025.03.18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글로벌 인공지능(AI)/머신러닝(ML) 분야 유니콘 스타트업들 중 90% 이상이 AWS를 활용하고 있다. 클라우드와 마찬가지로 AI 고객들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중요하게 보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마존웹서비스(AWS)가 AI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AWS가 갖는 중량감을 강조하며 관련 업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AWS는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AWS 유니콘데이 2025를 열고 국내외 유니콘 기업들 혁신 사례와 성장 전략을 조명하고, 스타트업을 위한 AWS 최신 기술 트렌드 및 스케일업 전략을 소개했다.
AWS는 코딩 AI 서비스 커서 등을 예로 들며 AI 스타트업들은 이전 세대 스타트업들보다 대단히 다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맷 테일러(Matt Taylor) AWS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스타트업 SA 총괄(AWS Head of Startups Solution Architecture, APJ)은 18일 서울서 열린 AWS 유니콘데이 2025 기조연설에서 확장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와 AI 기반 모델 선택 중요성도 부각했다.
그에 따르면 기업들은 아마존 오로라 서버리스 v2(Amazon Aurora Serverless v2) 및 아마존 오로라 리미트리스 데이터베이스(Amazon Aurora Limitless Database)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요구에 맞춰 확장할 수 있다.
그는 AWS 니트로 엔클레이브(AWS Nitro Enclaves)에 대해서도 소개하며 AI 모델, 핀테크, 헬스케어와 같은 보안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격리되고 강화된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잔여물(Data Residue) 방지, 부채널 공격(Side-Channel Attack) 차단, 하이퍼바이저 취약점 보호 등의 기능들과 AWS 키 관리 서비스(Key Management Service, KMS)와 연동해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아마존 베드록(AWS Bedrock)도 강조하며 “아마존 베드록은 다양한 파운데이션 모델(FM)들을 실험하고 선택해 결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면서 "특히 생성형 AI는 빠르게 진화하는 환경에서 적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테일러 총괄에 따르면 모델 소비자냐, 조정자냐, 제공자냐에 따라 사용하는 AWS 서비스들은 달라진다. 모델 소비자는 사전 훈련된 모델을 맞춤화 없이 활용하며, 이를 위해 주로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했다. 반면, 특정 목적을 위해 모델을 최적화하거나 직접 제공하는 모델 조정자 및 제공자들은 아마존 세이지메이커(Amazon SageMaker)나 아마존 ECS(Amazon ECS) 및 아마존 EKS(Amazon EKS)와 같은 컨테이너 서비스를 활용한다.
테일러 총괄은 "AWS는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Amazon Bedrock Marketplace)를 통해 100개 이상 AI 모델을 제공하며, 새로운 AI 모델, 도메인 특화 모델, 지역별 맞춤 모델 등을 지원한다"고 말했다.
김태현 한국 스타트업 솔루션즈 아키텍트 총괄은 이번 행사에서 AI 핵심 트렌드와 AWS에서 생성형AI를 가속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소개했다.
김태현 총괄은 AI 트렌드로 AI 에이전트 역할 확대, LLM을 넘어 멀티모달 모델이 갖는 중요성 부각, 업무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AI 모델 조합, AI 법률과 표준(AI Policies & Standards) 등을 꼽았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