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역이 최적지"… 2조원 규모 AI컴퓨팅센터 유치에 사활 건 지자체
||2025.03.17
||2025.03.17
정부가 2027년까지 최대 2조원을 투입해 비수도권에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한다. 이에 부산, 광주, 포항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 다수가 유치경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센터 유치를 통한 AI 인재 유입, 고용 확대, 지역내총생산(GRDP) 상승 효과 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14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진행한 제2차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 대다수 지자체가 참석해 유치전 동향을 점검했다.
해당 사업은 민관 합작 투자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2027년 내로 1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번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 능력)급 이상 성능을 내는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준공하는 것이 골자다. 센터는 국내 대학, 연구소, 기업의 AI 서비스 개발과 정부의 AI 전환(AX)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입지 선택권은 민간기업이 쥐고 있다. 기업 단독 또는 국내외 클라우드사, 통신사, AI기업 등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수 있다.
현재 부산과 광주, 대구, 경북, 경남, 전남, 전북, 강원, 충남 등이 유치전에 뛰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각 지자체는 저마다의 입지적 장점을 내세워 업계에 컨소시엄을 제안하는 등 센터 유치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통신·전력 인프라와 전문인력, 정주여건을 강조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 부지 및 전기수전을 확보한 SK브로드밴드, LG CNS, KT 등을 대상으로 공모 참여 의향을 파악 중이다. 특히 강서구 미음산단에 조성된 데이터센터 집적단지와 해외와 연결되는 광케이블 등 기반시설을 앞세워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시는 기업들이 부산에서 센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는 국가AI데이터센터가 이미 가동 중인 '준비된 도시'로서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광주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사업비 4269억원을 들여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를 조성했다. 2029년까지 9000억원 규모의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확산사업(AI 2단계)'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수성알파시티와 군위군을 후보지로 선정하고, SPC에 참여할 기업들을 물색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3월 SK리츠운용과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짓는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수성알파시티는 현재 250여개의 IT기업이 모여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ICT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포항시는 SPC 설립을 위해 포스코홀딩스, 삼성, LG, 구글 등과 협력해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경북의 전력 자립률은 2023년 기준 215.6%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1위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유일하게 3·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극저온 전자현미경 등 최첨단 연구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장비들에 축적된 방대한 양의 단백질 및 소재 분석 데이터는 AI 학습에 유용한 자원이다. 포항시는 지난달 민관·산학연 협력망인 '포항 AI 혁신위원회'도 구축했다.
전라남도는 해남 솔라시도에 2028년까지 15조원을 투자 유치해 세계 최대 규모인 3기가와트(GW)급 AI 데이터센터를 준공하는 계획과 연계해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를 추진 중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기반을 갖춘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는 친환경 에너지로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강원도는 춘천 수열에너지 클러스터의 충분한 부지와 전력, 기반 시설 및 수도권 접근성을 장점으로 내세우며 삼성, LG, KT, 네이버 등과 국가 AI 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계획 등을 논의하고 있다. 충청남도는 특수목적법인 설립을 위해 삼성, KT, 네이버 등의 기업들과 접촉하며 충남만의 강점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5월 30일까지 사업참여계획서를 접수받아 평가·심사를 거쳐 9월 내로 우선협상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하반기 중 최종 센터 입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수도권의 전력난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비수도권에 센터를 설립하기로 한 정부의 방침에 따라, 유치 지자체들의 경쟁은 향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