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에 부는 생성형 AI 열풍… IT 기업에 성장동력될까
||2025.03.16
||2025.03.16
공공부문에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 열풍이 IT 기업에 신규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대규모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에 한창이다.
행정안전부는 현재 90억원 규모의 '범정부 생성형 AI 공통기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공공 업무에서 사용할 AI 플랫폼을 2027년까지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정부 기관이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 가운데 기관 특성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경기도는 131억원 규모의 '경기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1개월 간 진행되는 이 사업을 통해 경기도는 AI 문서 생성 및 요약, AI 회의 시스템, 생성형 AI 챗봇 서비스, RAG 기술 활용 문서 검색 등의 기능을 탑재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위 두 사업을 비롯해 최근 '대기업 공공 SW 참여 제한'으로 10여 년간 공공 IT 시장에서 발을 뺐던 국내 대기업에도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범정부 생성형 AI 공통기반 사업은 '대기업 참여 제한 예외 사업'으로 선정됐다.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은 80억원 이상 규모로 매출 8000억원 이상 대기업도 참여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삼성SDS, LG CNS, 네이버, KT 등 국내 대기업들이 10년 만에 공공 IT 시장에 복귀할 기회를 얻게 됐다.
현행 소프트웨어진흥법은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대기업은 일정 사업 금액 이상의 사업에만 참여하도록 하고, 그중에서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한 회사에는 원칙적으로 모든 사업의 참여를 제한하고 있으나 예외적 경우에는 심사를 거쳐 허용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또 네이버와 공직 내 AI 전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공공부문에서 AI 인력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외부 채용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체적인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추진됐다.
국내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공공부문 생성형 AI 열풍이 국내 IT 기업 성장과 기술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국산 AI 모델의 적극적인 활용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 전문 인재 육성 등이 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