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디플정위, ‘디지털 현안 해결 프로젝트’ 주관기관 4곳 선정
||2025.02.26
||2025.02.26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2025년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사업 추진을 위한 주관기관을 26일 선정했다.
2025년도 사업은 자유공모 분야와 함께 '성범죄 사회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는 지정공모로 진행했다. 전문가 평가 등의 심의 절차를 거쳐 지정 공모에서는 여성가족부(공동주관 한국여성진흥원), 광주광역시경찰청이 선정됐다. 자유공모에서는 경기도농업기술원, 한국부동산원이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여성가족부 'AI 기반 아동·청소년 온라인 성착취 선제적 대응 시스템 도입' 사업은 AI를 기반으로 온라인에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등을 자동 탐지하고 조기 차단하는 디지털 성범죄 대응 사업이다. 본 사업은 AI를 활용해 24시간 365일 지속적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조기 차단하는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광역시경찰청 '성범죄 위기개입(수사·안전·지원) 플랫폼 개발-AI경찰관 희망틔우미' 사업은 AI를 기반으로 비대면 성범죄 수사와 지원을 강화하는 성범죄 피해자 보호 사업이다. 광주경찰청은 성범죄 위기개입 플랫폼을 통해 AI를 활용한 피해자 비대면 지원 및 신속하고 전문적인 피해 유형별 맞춤형 해결책 제시가 가능해진다.
경기도 농업기술원 'e-바이오 리엑토믹스 기반 농작물 불량화경 AI 관제 서비스' 사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작물 생체정보 변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농업 생산성을 확보하는 기후변화 대응 사업이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AI기반 관제서비스가 적용되면 병충해 등 농작물 피해에 보다 신속한 대응과 농업 생산량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부동산원 '빈집 정비 통합 지원 시스템 구축' 사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빈집 생애주기를 관리하고 빈집발생을 예측하는 지방 소멸 대응 사업이다. 정부는 효과적인 빈집 정비 방안 제시와 체계적인 대응 정책 수립 지원으로 사회적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전망한다. .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회현안을 디지털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 의미가 깊다"며 "이번에 선정된 과제가 실질적인 공공행정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과제 수행 시 민간에서도 적극 참여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승현 디플정위 플랫폼데이터혁신국장은 " AI 등 혁신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추진 대상으로 선정된 주관기관에서 제안한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