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 둔화 속 K-배터리 3사, 원통형 배터리로 돌파구 찾는다...中·美 견제 전략 가속
||2025.02.24
||2025.02.24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글로벌 시장 반격에 나선다. 다음 달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서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를 비롯한 혁신 기술을 공개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에 따른 전기차 보조금 축소 우려와 전기차 시장 성장 정체 속에서 기술 혁신을 돌파구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기존 2170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최소 5배 이상 높인 제품으로, 테슬라와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주요 고객사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의 새로운 태양광 전기차 모델도 전시한다. 이 차량은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팩을 동시에 사용해 주행거리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으로, 이번 전시에서 한국에서 최초로 공개된다.
삼성SDI는 배터리 화재 사고를 원천 차단하는 ‘열전파 차단(No TP)’ 기술과 2027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전고체 배터리를 소개한다.
열전파 차단 기술은 배터리 셀 내부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열이 주변 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술로, 최근 안전성 이슈가 커지는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력이 될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높고 주행거리가 길어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삼성SDI는 현재 글로벌 고객사들과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SK온은 파우치형·각형·원통형 배터리를 모두 선보이며 배터리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원통형 배터리 실물 모형을 처음 공개하며, 지난해 파일럿 라인(시제품 생산 시설) 준공 이후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 돌입했음을 알린다.
각형 배터리 분야에서도 변화가 있다. 기존 양방향 구조에 이어 단방향 모델을 추가해 선택지를 확대했다. 또한 배터리 내부 전극 적층 방식을 개선한 ‘Z-폴딩 스태킹’ 기술과 급속 충전 솔루션도 소개한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며 국내 배터리 업계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기반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미국 시장에서 K-배터리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2255억원, 삼성SDI는 2567억원, SK온을 자회사로 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은 3594억 원의 영업손실을 각각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터리 3사는 긴축 경영과 기술 혁신을 병행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이사 보수 상한선을 지난해 대비 20억원 줄인 60억원으로 설정했다. 삼성SDI 역시 이사 보수 최고 한도를 12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낮췄다.
배터리 3사가 원통형 배터리 공개에 집중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산 저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46시리즈, 삼성SDI의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 SK온의 원통형 배터리 개발 가속화는 모두 고성능 배터리 시장을 겨냥한 행보다.
특히 원통형 배터리는 전동공구,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해 시장성이 크다. 기존에는 크기가 작아 전기차 적용이 어려웠지만, 46시리즈 등 대형 원통형 배터리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전기차 시장에서도 중요한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에서 중국 CATL이 37.9%로 1위를 기록했으며, BYD가 17.2%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10.8%), 삼성SDI(3.3%), SK온(4.4%)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업계에선 최근 중국이 탄탄한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어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 논의가 본격화된 만큼 K-배터리는 원통형 배터리를 비롯한 차별화된 기술 혁신으로 점유율 반등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