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탄’ 터지나? 현대차 4조 원 손실 위기!"
||2025.02.16
||2025.02.16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 수입차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해 일본, 유럽 등 주요 대미(對美) 수출국과 자동차 제조사들은 관세 부과 가능성이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며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FTA도 안심 못 해…현대차, 미국 생산 확대 나서
한국의 자동차 업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현재까지는 관세 없이 미국으로 차량을 수출해왔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동맹국에도 예외를 두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불확실성이 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자동차 수출액 707억 8,900만 달러 중 미국 수출액은 347억 4,400만 달러로 전체의 49.1%를 차지했다. 현대차·기아, 한국GM의 미국 수출량은 각각 97만 대, 41만 대 수준이다.
만약 한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이 약 4조 3,000억 원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KB증권은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이 각각 1조 9,000억 원, 2조 4,000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으며, 신용평가사 S&P 글로벌은 20%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기아의 EBITDA(세금·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가 최대 19%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현대차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와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의 연간 생산량을 118만 대로 끌어올려, 현지 생산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판매량(170만 대)의 7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독일·일본도 비상…자동차 업계 전반에 악영향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공식화할 경우, 독일과 일본 자동차 업계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오토모티브뉴스가 인용한 글로벌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판매량 중 수입 차량 비중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폭스바겐(80%)이며, 현대차·기아(65%), 메르세데스-벤츠(63%), 르노·닛산·미쓰비시(53%), BMW(52%), 도요타(51%), 혼다(35%)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독일은 최근 유럽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되면서 자동차 업계가 이중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을 겨냥해 "EU는 아주 고약하며 우리를 제대로 대우하지 않았다"며 관세 부과를 강행할 뜻을 내비쳤다.
일본도 상황이 녹록지 않다.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일본만을 특정한 관세 부과가 언급되지 않았지만, 미국 정부는 일본의 무역 구조를 문제 삼으며 추가 조치를 검토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미국 내 반발도 확산…전체 자동차 시장 위축 우려
이번 관세 조치가 시행될 경우, 글로벌 자동차 업계뿐 아니라 미국 내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GM의 미국 내 판매량 중 수입 비중은 46%, 스텔란티스는 45%, 포드는 21%에 달한다. 이처럼 미국 브랜드 차량도 상당량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어, 관세 부과는 오히려 미국 자동차 산업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짐 팔리 포드 CEO는 지난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 산업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큰 비용과 혼란"이라고 비판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포괄적인 관세 조치는 자동차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북미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어떤 제조업체나 공급업체도 피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향후 몇 주에서 몇 년 안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무역 및 관세 시나리오를 분석하며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K-자동차 산업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지형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