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직접 인증…인증제·이력관리제 전면 시행
||2025.02.16
||2025.02.16
앞으로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최근 전기차 화재 등으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높아진데 따른 것이다.
16일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전기차 배터리에 대해서는 전기차에 탑재·판매하기 전에 정부가 직접 시험을 거쳐 안전성을 인증하는 제도다. 기존에는 제작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인증하던 자기인증 방식이었다.
함께 도입한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 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도록 한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한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등록 하도록 하여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해 관리한다.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연계해 등록된다.
국토부는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단위에서 전주기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전기차 보급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배터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국민 안전은 물론이고 향후 자동차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며 “전기차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발표한 전기차 안전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