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REPT가 제조한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2024년 10월15일 파리 오토쇼 현장에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정부와 국회가 배터리 기업 지원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현금 보조금 법안에 중국 관영매체가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한국 배터리 산업이 중국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정부 지원 자금을 바탕으로 협업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12일(현지시각)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배터리 보조금이 한국 내 산업 경쟁력 확대는 물론 중국과 협업을 강화하는 계기까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한국 정부와 국회는 배터리 기업이 국내 생산시설에 투자하면 일정액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직접환급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사이 관세 전쟁이 한국 배터리 업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관련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데 따른 움직임이다.이 구상은 미국 바이든 전임 정부에서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법안명을 따라 이른바 '한국판 IRA'로 불린다. 한국판 IRA가 현실화하면 중국 공급망도 수혜를 볼 수 있어 관영매체가 이를 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 배터리 산업에 보조금 지급 못지않게 공급망을 형성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중국 배터리 공급망이 한국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거론됐다. 중국이 흑연과 같은 배터리 필수 광물은 물론 양극재나 음극재 등 구성 요소까지 글로벌 공급망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한국에 수입된 배터리 음극재용 흑연 가운데 97.2%는 중국산이었다. 한국 배터리 기업이 중국과 기술 협력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글로벌타임스는 "미국 트럼프 정부가 전기차 관련 보조금을 축소해 한국 배터리 기업은 투자수익 감소와 같은 위험에 처했다"며 중국이 현실적인 협업 대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근호 기자반도체·자동차 포함 국내 10대 제조업 올해 119조 투자, 전년 대비 7% 증가유럽 경기침체가 정치 지형 바꾼다, 기후대응 우선순위에서 경제 회복에 밀려금감원장 이복현 "금융사 이사회 내부통제 강화", 금융지주 회장들과 업무협약금감원장 이복현 "주주보호 강화, 담론 아닌 실천 단계로 가야"3월1일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5개까지만 반입 가능, 선반 보관 금지·테이프로 단자 가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