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핫이슈] 딥시크 ‘우군 확산’ 속 오픈AI '거센 반격'...AI 전쟁
||2025.02.06
||2025.02.06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을 주도하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추론 모델 R1을 자사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고 나섰다. R1을 활용하려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데 따른 행보로 풀이된다. 이들 기업은 안전장치를 통해 딥시크 모델 사용에 따른 리스크를 줄여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ㆍ美 빅클라우드, 中 딥시크 지원 급물살...MS 이어 AWS도 주력 플랫폼에 추가
ㆍ유력 기업들 딥시크 도입 관심...MS·메타 같은 빅테크도 주목
ㆍ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서 딥시크 R1 모델 제공...AI PC에도 투입
ㆍ딥시크 R1은 클라우드 업체에 수익성 좋은 비즈니스...왜?
빅클라우드 외 국내외 여러 회사들도 주력 제품에 대한 지원을 추가하거나 R1을 활용한 서비스를 내놨다.
글로벌 AI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자사 생성형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인 ‘코텍스 AI(Cortex AI)’에서 ‘딥시크-R1(DeepSeek-R1)’ 모델을 지원한다. 컨슈머 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개발한 추론 모델인 R1 ‘안전 서비스’를 카카오톡 뤼튼 채널에서 시작했다. 의료 AI 전문기업 딥노이드는 자체 생성형 LLM옵스(LLMOps) 플랫폼 ‘DEEP:GEN(이하 딥젠)’에 딥시크 추론 모델 ’R1‘을 적용하고 의료 AI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했다.
ㆍ스노우플레이크, 생성형 AI 기반 앱 개발 툴 ‘코텍스 AI’서 딥시크-R1 프리뷰 지원
ㆍ뤼튼, 딥시크 최신 R1 모델 ‘안전 서비스’ 무제한 무료 제공
ㆍ딥노이드, 자체 생성형 AI 모델 딥젠에 딥시크 R1 활용
이런 가운데 오픈AI는 신제품 출시를 통해 딥시크 견제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우선 오픈AI가 새 추론(reasoning) 모델 o3-미니도 선보였다. 오픈AI는 o3-미니에 대해 강력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을 통 자사 AI 모델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눈길을 끈다. 오픈AI가 회사 가치를 3400억달러 규모로 잡고 최대 400억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초기 협상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다.
ㆍ오픈AI, 딥시크 거센 도전 속 신형 추론 모델 o3-미니 출시
ㆍ오픈AI, 심층 추론 모델 '딥리서치' 깜짝 공개…딥시크 3배 정확도
ㆍ딥시크 급부상에...오픈AI도 '오픈소스 AI' 전략 도입?
ㆍ오픈AI, 3개월 만에 몸값 2배로 400억달러 투자 유치 중....딥시크 부상 속 성공할까?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글로벌 투어 일환으로 한국을 찾아, 국내 유력 업체 대표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ㆍ韓 AI판 흔드나...오픈AI, 유력 기업들과 잇단 협력 모색
ㆍ오픈AI, 한국 AI판 공략 탄력...맞춤형 개발 지원·에이전트 역량 확대
ㆍ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오픈AI와 게임-AI 접목 모색"
ㆍ카카오-오픈AI '한국형 AI' 서비스 만든다...공동 개발 착수
AI를 직접 개발하거나 활용하려는 국내외 테크 기업들 행보는 이번 주에도 계속됐다.
SK텔레콤은 MIT가 올해 2월 발족한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에 창립멤버로 참여해 생성형 AI 기술 상용화와 산업별 응용 방안을 공동 연구한다. SK텔레콤은 SK C&C와 공동 개발 중인 업무용 AI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A. Biz)'의 사내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도 시작했다.
ㆍSKT, MIT·오픈AI와 생성형 AI 동맹
ㆍSKT, 기업용 AI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 베타 테스트 돌입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멀티 모달 AI 기반 이커머스 상세 페이지 제작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스튜디오랩’에 신규 투자했다. 3D 기반 AI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CINEV)'를 개발한 시나몬이 110억원 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ㆍ네이버 D2SF, 멀티모달 커머스 AI 스타트업 스튜디오랩에 신규 투자
ㆍAI 영상 스타트업 시나몬, 알토스벤처스 등서 110억원 규모 투자유치
LLM 솔루션 기업 올거나이즈는 거대 언어 모델(LLM) 에이전트 역량을 평가하는 ‘All-in-One Benchmark(올인원 벤치마크)’를 공개했다.
ㆍ올거나이즈, LLM 에이전트 역량 평가하는 ‘올인원 벤치마크’ 공개
베리타스를 인수한 데이터 백업 솔루션 업체 코헤시티가 생성형(AI) 기반 분석도 강조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코헤시티가 백업 말고 분석 솔루션을 따로 선보인 건 아니다.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백업 솔루션에서 바로 분석도 지원하는 것이 백업 플러스 AI 전략의 골자다.
ㆍ베리타스 통합한 코헤시티 "데이터 백업 넘어 AI 분석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어도비는 미디어 인텔리전스(media intelligence) 및 검색 패널(search panel)을 통해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Adobe Premiere Pro)에서 베타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특정 클립을 찾기 위해 수 기가바이트 파일을 검색하지 않고도 파일 라이브러리에서 필요한 클립을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애플은 4월부터 애플 AI 플랫폼인 애플 인텔리전스에 한국어를 포함해 지원 언어를 추가한다.
ㆍ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 AI 기반 영상 검색 기능 투입
ㆍ애플 인텔리전스, 4월부터 지원 언어 확대...한국어도 가능
클라우드 쪽에선 글로벌 빅클라우드 회사들이 예상을 밑도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럼에도 관련 업계는 올해도 AI 인프라 확대를 위한 공격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