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AI판 흔드나...오픈AI, 유력 기업들과 잇단 협력 모색
||2025.02.05
||2025.02.05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삼성전자, 카카오, 크래프톤 등 분야별 한국 유력 기업 대표들과 잇따라 회동하고 협력을 모색했다. 국내 AI 판세에 어떤 변화를 몰고올지 주목된다.
4일 오전 방한한 샘 알트먼 CEO는 오픈AI가 한국에서 처음 개최한 개발자 컨퍼런스 빌더랩에 참석한데 이어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등과 만났다. 반도체, 모바일 서비스, 게임 분야 국내 굴지 기업들과 제휴를 모색한 것. 이에 구체적인 결과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AI판 대형 관전포인트로 부상했다.
샘 알트먼 CEO는 우선 4일 오전 카카오가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도 참석해 관심을 끌었다.
이 자리에서 카카오와 오픈AI는 전략적 제휴를 발표하고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 주요 서비스들에 오픈AI 최신 AI 모델 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또 카카오는 AI 네이티브 컴퍼니'로 전환을 위해 기업용 챗GPT 서비스인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하기로 했다.
크래프톤의 경우 오픈AI와 CPC(Co-Playable Character) 개발과 게임 특화 AI 모델 최적화 등에 대한 협력을 모색한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4일 샘 알트먼 CEO와 비공개 회동을 가진 후 "크래프톤은 오픈 AI와 게임 개발과 운영 전반에 혁신적으로 적용할 새로운 기술과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샘 알트먼 CEO는 기업인 오찬 간담회에도 참석해 GS그룹, SK그룹과 코오롱그룹 등 3·4세들 10여명을 만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샘 알트먼 CEO는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함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와 관련한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알트먼 CEO는 이날 카카오 기자 간담회에서 "스타게이트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 기업이 많다. 스타게이트는 공급망에 많은 기업이 참여해야 가능한 프로젝트"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앞서 오픈AI, 소프트뱅크그룹, 오라클은 1월 AI 합벅 법인 스타게이트를 설립하고 처음에는 1000억달러로 시작해 향후 4년 간 최대 5000억달러까지 투입하기로 했다.
국내 유력 기업들 리더들이 샘 알트먼 CEO와 협력을 논의했지만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결과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삼성전자와 크래프톤은 오픈AI와 협력 방안을 논의한 단계고, 카카오의 경우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 하지만 자사 서비스 개발에 오픈AI 기술도 활용하고 회사 차원에서 기업용 챗GPT를 쓰겠다고 한 것이어서 임팩트가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시선도 적지 않다.
한편 4일 스타트업 창업자 및 기업 고위 개발자들 100명 정도가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열린 빌더랩 컨퍼런스에는 샘 알트먼 CEO 외에 케빈 웨일(Kevin Weil) 오픈AI 최고 제품 책임자(CPO)도 참석해 질의응답 세션이 20~30분간 진행했다.
이후에는 2시간 가까이 오픈AI 개발자 실무진들과 함께 참석자들이 직접 오픈AI 최신 모델 및 기술들을 활용해 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빌더랩에 참석한 국내 모 스타트업 CEO는 "큰 발표는 없었지만 오픈AI 본사 실무 개발자 여러명과 기술에 대해 직접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었다"면서 "그동안 이런 기회가 없었던 만큼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