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컴퓨팅센터’ 청사진 공개…올해 11월 서비스 시작
||2025.01.22
||2025.01.22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정부가 본격적인 AI 패권 경쟁에 나선다. 이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구축, 올해 11월 조기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계획안을 보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 합작 투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를 설립하고, 정책금융 대출 등을 활용해 1엑사플롭스 이상의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민·관 합작 투자 방식으로 최대 2조원 규모 센터를 설립한다.
비수도권에 들어설 국가 AI컴퓨팅센터는 공공과 민간이 각각 51% 대 49% 비율로 출자한 민관합동 SPC가 구축한다. 산업은행, 기업은행이 SPC 지분의 최대 30%(각 15% 이내)를 출자한다
국가 AI컴퓨팅센터는 전력 계통 영향평가 신속 처리 대상이 된다. 과기정통부는 구체적 입지나 전력 확보 방안은 민간에서 제안하도록 할 방침이다. SPC에 참여하는 민간 추가 투자를 합치면 2엑사플롭스 규모가 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SPC 공모는 국내외 클라우드 및 통신, AI 기업이 대상이다. 정부는 복수 클라우드·통신 사업자 간 컨소시엄 구성을 우대할 계획이다. 컨소시엄 대표법인은 기업신용등급 A 이상이어야 하고 컨소시엄에는 데이터센터 기업과 AI컴퓨팅 서비스 기업이 포함돼야 한다.
정부는 2027년까지 투자금 2조∼2조5000억원을 정책 금융을 통한 저리로 대출해줄 예정이다. 민간 AI R&D 및 투자 지원 강화를 위해 AI 분야를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한다. 세액 공제율은 AI R&D에서 대·중견기업 30∼40%, 중소기업 40∼50%를 각각 적용한다. 투자에 관한 공제율은 대·중견기업 15∼25%, 중소기업 25∼35%다.
사업 공모는 오는 23일부터 5월 30일까지 진행한다. 다음달 7일에는 서울 은행회관에서 세부 사항을 안내하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센터 공식 개소 시기는 2027년이지만 AI 컴퓨팅 서비스는 당장 올해 11월부터 시작한다. 초기에는 첨단 GPU를 우선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국산 AI반도체 비중 확대를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AI 컴퓨팅 인프라는 AI 대전환 시대를 뒷받침하는 국가 핵심 기반"이라며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조속히 추진해 AI컴퓨팅 생태계 성장의 요람으로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객님만을 위한 맞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