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노린 스미싱·사이버 사기 기승… 정부, 각별한 주의 당부
||2025.01.19
||2025.01.19
설 명절 전후를 노린 문자사기(스미싱)와 사이버 사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 부처들은 19일 명절 선물 및 송금 사칭 문자, 배송·환불 사기, 허위 쇼핑몰 등을 이용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먼저 문자사기 증가가 우려된다. 명절을 전후해 범칙금·과태료 조회, 연말정산 환급 등 악성 문자가 유포될 가능성이 크다. 선물이나 송금을 사칭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악성 앱 유포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며, 공공기관을 사칭한 유형이 162만 건(59.4%)으로 가장 많았고, SNS 계정 탈취(16.9%)와 지인 사칭(15.5%) 유형도 늘었다. QR코드를 악용한 큐싱(QR코드+피싱) 피해도 우려된다.
문자 사기를 예방하려면 구매하지 않은 물건의 배송 안내, 결제 요청, 환불 계좌 입력 문자 등을 받을 경우, URL을 클릭하지 말고 사실을 확인해야 한다. 악성 앱 설치로 인한 원격조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방을 정확히 확인하기 전에는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허위 쇼핑몰 피해 예방을 위해선 지나치게 저렴한 명절 선물 광고를 발견하면, 사업자 정보, 리뷰, 고객 불만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취소 가능한 신용카드 결제를 권장하며, 현금 거래를 유도하는 판매자는 주의가 필요하다. 거래 전 경찰청 인터넷 사기 조회 서비스를 활용해 피해 신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문자사기 대응을 위해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악성 앱 유포지 등을 긴급 차단한다. 방통위는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협력해 스미싱 주의 안내 문자를 발송 중이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사기 예방을 강조하며, 신용카드 배송 관련 보이스피싱 의심 시 카드사 공식 번호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