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올해 보안 트렌드 4가지 발표
||2025.01.15
||2025.01.15
에스원이 ‘2025년 보안 트렌드’를 15일 발표했다. 에스원은 각종 사건·사고 동향을 분석하고 자사 고객과 소셜미디어(SNS) 방문자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보안 업계 흐름을 진단했다.
에스원은 ▲IP 카메라 해킹 사고 급증에 따른 ‘CCTV 보안 강화’ ▲사건·사고 예방 돕는 ‘인공지능(AI) CCTV 구축 증가’ ▲주거 시설 강력 범죄 늘어나며 ‘홈 보안 솔루션 보급 확대’ ▲위조된 얼굴 판별하는 ‘고도화된 얼굴인식 솔루션 각광’을 ‘2025년 보안 트렌드’로 발표했다.
에스원은 저가형 IP 카메라를 겨냥한 해킹 사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보안이 취약한 IP 카메라를 해외 직구로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개인정보가 담긴 영상이 유출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5%가 ‘CCTV 영상 해킹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CCTV 영상 해킹 범죄를 대비하기 위해 신규 투자를 할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38%가 ‘투자할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CCTV 영상 해킹 범죄 예방을 위해 필요한 보완책’으로는 ▲보안 인증(TTA)을 받은 CCTV 설치(57%) ▲검증된 업체의 CCTV 구매(32%)▲ 주기적인 녹화기 비밀번호 변경(10%)을 꼽았다.
에스원은 리튬 배터리 공장 폭발, 전기차 배터리 화재 등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 발생하는 재해가 증가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업장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새롭게 투자할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4%가 ‘의사가 있다’라고 답했다.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도입하고 싶은 CCTV 관련 솔루션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는 ▲사고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AI CCTV(58%) ▲녹화 공백 최소화를 위한 CCTV 이상 모니터링 서비스(30%) ▲일반 CCTV 추가(9%)라고 답했다.
또 묻지마 폭행과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테러 사건이 주거 시설 내에서 발생하며 주거지 보안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9%가 “주거 지역에서 강력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주거 시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가정집에 보안 상품을 도입할 의사가 있는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55%가 도입 의사를 밝혔다.
‘가정에 도입하고 싶은 보안 솔루션’으로는 ▲현관 앞 CCTV(59%) ▲무인경비 시스템(26%) ▲실내용 CCTV(10%) 순으로 조사됐다.
또 얼굴인식 솔루션이 일상 곳곳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빅테크 기반 보안 상품 중 가장 보편화된 솔루션은 무엇이라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3%가 ‘얼굴인식 솔루션’을 꼽았다.
얼굴인식 기술이 대중화 될수록 이를 우회하려는 위조 얼굴 공격 역시 늘어나고 있다. 에스원은 “위조 얼굴 공격과 방어 기술은 ‘바이러스와 백신’ 관계와 같으므로 얼굴 위조 기술이 등장하면 이를 식별하는 얼굴인식 솔루션 역시 고도화 돼야 한다”며 “위조 얼굴 공격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는 만큼 얼굴인식 솔루션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역시 필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