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컴퓨팅센터’ 설립 추진…GPU 수급·규제 개선 숙제로
||2025.01.14
||2025.01.14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정부가 올해 '국가 AI컴퓨팅센터' 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고성능 GPU를 대량 확보한 AI 특화 데이터센터를 지어 스타트업과 중소·중견기업 AI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충분한 GPU 확보와 센터 설립 규제 등 넘어야 할 산도 적지않다.
과기정통부는 13일 2025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1분기 중 AI 컴퓨팅인프라 종합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AI컴퓨팅센터를 구축해 미국과 중국에 이은 AI G3 국가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특수목적법인(SPC) 형태 민관합작과 정책금융 지원 등을 통해 2030년까지 1엑사플롭스(EF) 규모 AI컴퓨팅센터 2곳을 세우기로 했다. 1엑사플롭스는 1초에 100경번 연산을 처리하는 능력을 뜻한다. 해외 빅테크가 AI 모델 개발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이 고성능 인프라를 활용해 AI 연구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목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 AI 전문기업들이 보유한 엔비디아 H100은 2000여장에 그친다. 업계에서는 1엑사플롭스 성능을 내는 데 1만장 이상의 H100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GPU 보유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예산 가용 범위 내에서 GPU를 추가 구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데이터센터 규제가 AI컴퓨팅센터 설립 추진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본다. GPU는 확보하더라도 규제 개선이 동반돼야 계획대로 설립이 가능하다는 의견이다.
한 클라우드 업체 관계자는 "전력 수급 대책 등 데이터센터를 짓는데는 많은 규제를 넘어서야 한다"며 "국가가 추진하는 AI 데이터센터라고 해도 규제는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신규 데이터센터가 전력계통에 부담을 줄 경우 한국전력이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추진하는 등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해 넘어야 할 규제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관계 부처 협업으로 풀 수 있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규제는 여러 부처가 물려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도 활발하게 논의해 대안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업계에는 AI컴퓨팅센터가 세워질 유력 후보지로 대구광역시, 전라남도, 강원도 등이 오르내리고 있다. 과기정통부 측은 "국가 AI 컴퓨팅 센터 입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고 향후 사업자 공모를 통해 추진될 예정"이라며 "국가 핵심 사업인 만큼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