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완성차 생애주기 모든 탄소배출 관리한다
||2024.12.30
||2024.12.30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통합 탄소배출 정보 시스템(IGIS)'을 구축, 탄소 배출량 관리를 강화한다.
IGIS는 원소재 채취부터 제조·수송·운행·폐기에 이르기까지 완성차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현대차·기아는 그동안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GEMS)', '협력사 탄소 배출 이력 관리 시스템(SCEMS)'을 구축해 국내외 사업장과 협력사 탄소 배출량을 관리해왔다.
IGIS는 기존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데 이어 차량·기업 단위 탄소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산출·관리할 수 있는 '완성차 전과정 평가' 기능을 추가했다.
현재 대다수 자동차 업체는 부품 제조 과정과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관리한다. 하지만 제품 단위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별도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실제 완성차 전과정 평가를 적용하면 과정별 정량적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더욱 체계적 탄소 배출량 관리가 가능하다. 또, 유관 부서가 개별 시스템을 활용했던 복잡한 관리 방식을 개선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좋아지고 업무 자동화도 꾀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IGIS에 적용해 배출량 관리 투명성도 높였다.
진은숙 현대차·기아 ICT본부장 부사장은 “'탄소중립 2045' 달성을 목표로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체계적 관리를 통해 현대차·기아 경제 활동 전반에 걸친 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